부재

이 샌드박스는 더이상 사용하실 수 없습니다.

후속 샌드박스로 이전해주시기 바랍니다.

샌드박스 2호기

샌드박스 3호기

새로운 샌드박스에 초안 페이지를 생성한 뒤, 이 페이지의 설정 → 페이지 소스에서 내용을 복사해 옮겨붙이시면 됩니다.
이전에 어려움이 있다면 포럼이나 대화방에서 운영진에게 문의하세요.


평가: 0+x

ideological-imbroglio 10/31/18 (수) 03:15:47 #21676943


footage1.png

Still from Nichts (1951).
《공허Nichts》 (1951)의 한 장면.

The recent disappearance of Basil Ottinger (and the subsequent discovery of several "lost films" in his private collection) has re-ignited cinema's fascination with the revolutionary work of an underground independent film-maker known as "Josef Hellmuth".
최근에 있었던 바질 오팅거의 실종은 (그리고 그의 개인 소장품 속에서 발견된 "잃어버린 필름들"은) 우리에게 "요제프 헬무트"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한 지하 독립 영화 제작자가 만든 혁명적인 영화 작품들의 매력을 다시 일깨워주었다.

The reclusive director's fame in cinema circles is ironic: Hellmuth is best known for not wishing to be known. Only one of his films (Schweigen, 1953) contains an end-credit sequence, wherein he thanks meine lieben Wohltäter ("my dear benefactors"). His work was distributed privately through Panopticon Pictures until the company declared bankruptcy in 1962; nearly all extant prints were destroyed in a warehouse fire.
영화계에서 은둔한 이 감독의 명성은 참 아이러니하다. 헬무트는 알려지고 싶지 않은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그의 영화들 중 단 한 편만이 (《침묵Schweigen》, 1953) 엔딩 크레딧 장면을 가지고 있으며, 여기서 그는 meine lieben Wohltäter ("나의 친애하는 후원자 분들")에게 감사를 표한다. 그의 영화 작품은 파놉티콘 픽쳐스를 통해 1962년 회사가 파산 선언을 하기 전까지 개인적으로 유통되었다. 존재하던 거의 모든 필름들은 창고 화재로 인해 소실되었다.

Hellmuth's work is characterized by sparse structure, emotional isolation, fascination with negative space, no dialogue, and single extraordinarily long takes. His first film (Nichts, 1951) is a two-hour exploration of a dilapidated, abandoned munitions factory. What makes the film remarkable is how it is shot: one single, smooth tracking shot that begins at the entrance, descends several flights of stairs, and ends in a basement. Given the lack of identifiable cuts, tracks, or rails (even along the stairs), the movie's release produced endless speculation among cinematographers regarding how this was done.
헬무트의 영화 작품은 엉성한 구조, 감정적 고립, 여백의 매력, 대화 없음, 그리고 극단적으로 긴 단일 롱 테이크가 특징이다. 그의 첫 번째 영화는 (《공허》, 1951) 다 허물어져가는 버려진 군수품 공장을 탐험하는 2시간짜리 영상이다. 이 영화에서 주목할 만 한 점은 출입문에서 시작해, 몇 층의 개단들을 내려가고, 지하실에서 끝나는 단일하고 매끄러운 이동 촬영을 어떻게 해냈는가 이다. 식별 가능한 컷이나 트랙, 레일이 (심지어 계단을 따라 나있는 것조차도) 없는 이 영화의 개봉은 영화 촬영 기사들 사이에서 어떻게 이런 촬영을 했는지에 대한 끝없는 추측들을 불러일으켰다.

Although Nichts is the most "conventional" film Hellmuth produced, it still contains surrealist elements that would become hallmarks of his style. The factory's basement is improbably vast, containing far more levels than it should (and includes strange, unidentified machinery). At several points, the camera focuses on objects that are out of place (a pink ribbon, false teeth, a wooden dreidel). Near the seventy-minute mark, a silhouette is briefly visible passing by a doorway. The final shot (where the camera explores a pitch black room) lasts for fifteen minutes — during which only heavy breathing can be heard.
《공허》는 헬무트가 제작한 영화들 중 가장 "평범한" 작품이지만, 여전히 그의 스타일에서 중요한 특징이 될 초현실주의적 요소들이 담겨있다. 공장의 지하실은 믿을 수 없이 광활하고, 원래 있어야 하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층들을 (그리고 이상하고 정체 모를 기계장치들을) 가지고 있다. 여러 시점에서 카메라는 그 상황에 어울리지 않는 물건들에 (분홍색 리본, 틀니, 나무 드레이들) 초점을 맞춘다. 70분 부분쯤에는 출입구를 지나가는 실루엣이 잠깐 보인다. 마지막 숏은 (칠흑같이 어두운 방을 탐사하는 장면) 15분간 지속되며, 끝날 때까지 거친 숨소리밖에 들리지 않는다.

Themes of isolation and emptiness are further elaborated on in Hellmuth's fifth film, Doppelgänger (1953). Comprised of a ninety-minute long tracking shot, the viewer navigates a carnival's 'hall of mirrors' while pursued by a hazy, indistinct figure (visible only in each mirror's reflection). The film ends abruptly when the figure appears in front of the camera, obstructing its view.
고립과 공허라는 주제는 헬무트의 다섯 번째 영화, 《대역Doppelgänger》 (1953)에서 한 층 더 정교해진다. 90분짜리 롱 테이크 숏으로 구성된 이 영화에서, 관객은 흐릿하고 희미한 형상에게 뒤쫓기면서 카니발의 '거울미로' 속을 돌아다닌다. 영화는 카메라 앞에서 나타난 형상이 시야를 가로막으면서 갑작스럽게 끝난다.

Numerous die-hard Hellmuth fans have mapped out the interior of the hall based on the camera's movements, only to discover that the camera often moves through what ought to be a solid mirror. To this day, vigorous debate continues over how Hellmuth achieved this and other effects (such as the absence of the camera's reflection in any one of the hall's hundreds of mirrors).
여러 끈질긴 헬무트 팬들이 카메라의 움직임을 바탕으로 미로 내부의 지도를 만들었지만, 그 결과 카메라가 종종 고체 거울을 통과하며 움직인다는 사실을 발견했을 뿐이었다. 오늘날까지도 헬무트가 어떻게 이것과 다른 효과들을 (미로의 수백 개의 거울들 중 어느 하나에도 비치지 않는 카메라 등) 만들어냈는지에 대한 활발한 논쟁들이 계속되고 있다.

footage2.png

Still from Schuld (1954).
《책임Schuld》 (1954)의 한 장면.

Schuld (1954) is perhaps the film for which Hellmuth is most infamous. It is three hours long, and consists of a single fixed shot: four figures burning atop a pyre as a crowd watches from below. Details regarding its screening at a 1965 Oldenburg film festival are murky. Viewers expressed distress, anxiety, and physical illness; this allegedly escalated with the audience storming the projection booth and destroying all prints of the film.
《책임》 (1954)은 아마 헬무트의 작품들 중 가장 악명 높은 영화일 것이다. 3시간 길이의 이 영화는 군중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4개의 형상들이 장작더미 위에서 불타고 있는 장면을 담은 단일 고정 숏으로 이루어져 있다. 1965년 올덴부르크 영화제에서 상영된 이 작품에 관한 세부사항들은 명확하지가 않다. 관객들은 정신적 괴로움과 불안감, 그리고 신체적 질병을 나타냈다. 전해진 바에 따르면 청중들이 영사실을 습격하고 영화 필름들을 파괴하면서 이러한 증세들이 퍼져 나갔다고 한다.

Hellmuth is notorious for being tight-lipped about his work, having never publicly commented on it. However, in 1961, a student attending Merz Akademie uncovered a letter authored by him in the college's archives. The following excerpt (translated from its original German) elaborates on his views regarding the role of the author:
헬무트는 자신의 작품에 대해 입을 굳게 다문 것으로 악명 높으며, 자기 작품에 대해 공개적으로 논평한 적은 전혀 없었다. 그러나 1961년 머즈 한림원에 다니는 한 학생이 자료실에서 헬무트가 쓴 한 편지를 발견했다. 다음 발췌문은 (독일어에서 번역) 작가의 역할에 관한 그의 견해를 자세히 설명해준다.

"Death of the Author" presumes too much. It presumes the author may exist. But this cannot be permitted. The author must be obliterated down to their elemental structure, down to their essence, their very core. No trace of their presence can remain on this earth. The author must cease to be.
"작가의 죽음"은 너무 많은 것들을 상정한다. 이것은 작가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상정한다. 하지만 그것은 허용될 수 없다. 작가는 자신의 근본적인 구조, 본질, 핵심까지 없애버려야만 한다. 작가의 존재 흔적은 이 지구상에 남아있어서는 안 된다. 작가는 존재하기를 그만두어야 한다.

Art can only be understood as an excretion of natural, indeterminable events — a thing that is shaped via a rudderless process devoid of intent, purpose, or reason. Rain-drops falling through a canopy of leaves. Apples withering on the branch of a decaying tree. Maggots bursting from a dead pigeon's breast.
예술은 오로지 자연스럽고 확정할 수 없는 사건들의 배설물, 의도나 목적이나 이성이 부재한 방향성 없는 과정을 통해 형성된 것으로만 이해할 수 있다. 무성한 잎사귀들 사이로 떨어져 내리는 빗방울들. 썩어가는 나무의 가지에 매달려 시들어가는 사과들. 죽은 비둘기의 가슴에서 터져 나오는 구더기들.

The author is more than 'irrelevant'. Their irrelevance is such that to merely mention this irrelevance is to grant them more relevance than they deserve. To say the author is dead, you must first presume the author was once alive. But the author was never alive. The author was never even there.
작가는 '무관한 존재' 그 이하다. 작가의 무관함은 그저 이 무관함을 언급함으로서 그들이 가진 것 이상의 관련성을 인정해줄 뿐이다. 작가가 죽었다고 말하기 위해서는 우선 작가가 한때 살아있었다고 상정해야 한다. 하지만 작가는 결코 살아있지 않다. 작가는 애초에 있지도 않았다.

footage3.png

Photo taken from viewing of Abwesenheit (1962).
재생 중인 《부재Abwesenheit》 (1962)를 촬영한 사진.

Immediately after the publication of this letter in several film periodicals, Josef Hellmuth ceased to respond to all correspondence and phone-calls; no one has heard from him since. In 1962, he produced and published his final film: Abwesenheit.
이 편지가 몇몇 영화 잡지들에 실린 직후 요제프 헬무트는 모든 편지와 전화에 대한 응답을 중단했다. 그 이후로 어느 누구도 그에게서 소식을 듣지 못했다. 1962년 그는 자신의 마지막 영화 작품 《부재》를 제작하고 공개했다.

All six copies of Abwesenheit were believed to be lost in the 1962 fire. However, in 1987, a recording of a private viewing was recovered from the home of Basil Ottinger (a prominent art collector obsessed with the study of Hellmuth). Although incomplete, it indirectly captures a small portion of the filmmaker's final masterpiece.
《부재》의 복사본 6개는 1962년 발생한 화재로 인해 모두 소실되었다고 여겨져 왔다. 그러나 1987년 바질 오팅거의 (헬무트 연구에 몰두했던 저명한 미술품 수집가) 집에서 개인적인 영화 관람을 촬영한 녹화본이 발견되었다. 비록 불완전하지만 해당 녹화본은 이 영화 제작자가 만든 최종 걸작의 일부분을 간접적으로 담고 있다.

The footage is several minutes in length, and focuses on a television screen on which Abwesenheit is playing. The television's footage is heavily distorted. The audience (out of frame) produces muffled sobs; Ottinger repeatedly apologizes. As the film draws to its conclusion, the audience becomes increasingly distressed. One member starts to pray. Ottinger begs for it to stop.
몇 분 길이의 이 영상은 《부재》가 재생 중인 텔레비전 화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텔레비전의 영상은 심하게 왜곡되어있다. 청중들은 (화면 밖) 숨을 죽인 체 흐느끼고 있다. 오팅거는 거듭해서 사과하고 있다. 영화가 결말에 이르자 청중들은 점점 더 괴로워하고 있다. 청중들 중 한 명이 기도를 시작한다. 오팅거는 기도를 멈춰달라고 간청한다.

A hand descends in front of the camera, obstructing its view of the television. The recording abruptly ends.
한 손이 카메라 앞으로 내려오면서 텔레비전 화면을 가로막는다. 녹화본은 갑작스럽게 끝난다.

Investigations into Basil Ottinger's disappearance (and the location of the fabled surviving print of Abwesenheit) have turned up no results. However, it is notable that the footage of Ottinger's viewing was recorded with Kodak 5247 (Josef Hellmuth's preferred film stock).
바질 오팅거의 실종에 대한 (그리고 전설적인 《부재》의 잔존 필름이 있는 위치에 대한) 조사는 아무런 성과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오팅거의 영화 관람 영상이 코닥 5247로 (요제프 헬무트가 선호하는 종류의 필름) 촬영되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작가: The Great Hippo

태그: 크리피파스타 파라워치 이야기 en


이 샌드박스는 더이상 사용하실 수 없습니다.

후속 샌드박스로 이전해주시기 바랍니다.

샌드박스 2호기

샌드박스 3호기

새로운 샌드박스에 초안 페이지를 생성한 뒤, 이 페이지의 설정 → 페이지 소스에서 내용을 복사해 옮겨붙이시면 됩니다.
이전에 어려움이 있다면 포럼이나 대화방에서 운영진에게 문의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