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set "utf-8"; @font-face {font-family: 'EBSHMJESaeronRA'; src: url('https://cdn.jsdelivr.net/gh/projectnoonnu/noonfonts_one@1.0/EBSHMJESaeronRA.woff') format('woff'); font-weight: normal; font-style: normal; } /* 대한민국 정부 CSS 테마 [2020 Wikidot Theme] Edited by thd-glasses. Code adopted from JOICL hub theme created by kumer1090, with assistance from snoj. Code adopted from Minimal Theme created by stormbreath. Originally based on SCP Sigma 9 Theme created by Aelanna and Dr Devan. The NPES symbol, the NPES logo, and the rok-gov-small0.png file was created by thd-glasses and is licensed under CC-BY-SA 3.0. */ :root { --header: url(http://scpko.wdfiles.com/local--files/theme%3Arok-gov-theme/rok-gov-logo-small0.png) 20px 50px no-repeat; --title: "국가안보실"; --subtitle: "Office of National Security"; } /* COMMON */ #content-wrap { min-height:1700px; } h1, #page-title { color: #3F497F; } #page-title { border-color: #3F497F; } .enlarge{ transition: .25s; } .enlarge:hover{ transform: scale(1.3); transition: .25s; transition-delay: .4s; z-index: 1000; } table.wiki-content-table td { border-color: #D0D0EF; background-color: #FFF; } table.wiki-content-table th { text-align: center; border-color: #D0D0EF; background-color: #D0D0EF; color: #4C5999; } #page-content { min-height: 1540px !important; } /* links */ a { color: #4C5999; } #side-bar a:visited { color: #4C5999; } a:visited { color: #4C5999; } a.newpage { color: #9BA2C9; } body { background: #FFFFFF; color: #000000; } div#container-wrap { background: none; } /* HEADER */ #header { background: var(--header); } #search-top-box-input { border: solid 1px #AAA; color: #DDD; background-color: #FFF; box-shadow: none; } #search-top-box-input:hover, #search-top-box-input:focus { border: solid 1px #AAA; color: #DDD; background-color: #EEE; box-shadow: none; } #search-top-box-form input[type=submit] { border: transparent; color: #FFF; background-color: #3F497F; background: linear-gradient(to bottom, #4F5C9F,#313962); box-shadow: none; } #search-top-box-form input[type=submit]:hover, #search-top-box-form input[type=submit]:focus { border: transparent; color: #EEE; background-color: #3F497F; background: linear-gradient(to bottom, #4F5C9F,#313962); box-shadow: none; } #login-status { color: #000; } #login-status a { color: #000; } #login-status ul a { color: #000; } #account-topbutton { background: #CCCCCC; color: #000; } #header h1 a { padding: 88px 0 25px; color: transparent; font-family: 'EBSHMJESaeronRA', Arial, sans-serif; font-size: 170%; font-weight: 900; text-shadow: none; letter-spacing: -2px; } #header h1 a::before { content: var(--title); color: #000; text-shadow: none; } #header h2 span { padding-left: 2px; color: transparent; font-family: sans-serif, Arial; font-size: 120%; text-shadow: none; letter-spacing: -0.1px; } #header h2 span::before { content: var(--subtitle); color: #444; text-shadow: none; } /* TOP MENU */ #top-bar a { color: #fff; } #top-bar { position: absolute; bottom: 0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url(http://scpko.wdfiles.com/local--files/theme%3Arok-gov-theme/body_bg_1.png) 0 0 no-repeat; border: transparent; height: auto; padding: 0; z-index: 20; font-size: 90%; } #top-bar ul li ul { border-radius: 0 0 5px 5px; background-color: transparent; border: transparent; box-shadow: none; } #top-bar ul { float: right; padding-right: : 5em; } #top-bar ul li a { border-left: none; border-right: none; } #top-bar ul li.sfhover a, #top-bar ul li:hover a { color: #3F497F; border-left: none; border-right: none; } /* SIDE MENU */ #side-bar { background: #fff; } #side-bar .side-block { border: solid 1px #3F497F; border-radius: 0px; background: #FFF !important; box-shadow: none !important; } #side-bar .heading { padding-left: 5px; padding-top: 3px; height: 18px; color: #FFF; background-color: #3F497F; background-size: cover; } #side-bar div.menu-item.inactive a { color: #3F497F; } #side-bar div.menu-item .sub-text { color: #3F497F; } #side-bar .collapsible-block-folded { background: none; } #side-bar .collapsible-block-unfolded-link { border-bottom: solid 1px #3F497F; } #side-bar .collapsible-block-unfolded-link .collapsible-block-link { color: #3F497F; } #side-bar .collapsible-block-unfolded-link .collapsible-block-link:hover { color: #4F5C9F; } /* YUI-TABS */ .yui-navset .yui-content{ background-color: #FDFDFD; padding: 15px; font-size: 14px } .yui-navset .yui-nav a, .yui-navset .yui-navset-top .yui-nav a { background:#FFF url(http://scpko.wdfiles.com/local--files/theme%3Arok-gov-theme/body_bg_0.png) repeat-x; border-top: solid #333 1px; border-left: solid #444 1px; border-right: solid #444 1px; color:#000; } .yui-navset .yui-nav .selected a, .yui-navset .yui-nav .selected a:focus, /* no focus effect for selected */ .yui-navset .yui-nav .selected a:hover { /* no hover effect for selected */ background: linear-gradient(to bottom, #4F5C9F,#313962); /* selected tab background */ border-top: solid #4F5C9F 1px; color: #FFF; } .yui-navset .yui-nav a:hover, .yui-navset .yui-nav a:focus { background: #DDD; text-decoration: none; } .yui-navset .yui-nav, .yui-navset .yui-navset-top .yui-nav { border-color: #313962; } /* Rating Module */ .page-rate-widget-box{ box-shadow: none; } .page-rate-widget-box .rate-points { background-color: #3F497F !important; border: solid 1px #3F497F; color: #FFF; } .page-rate-widget-box .rateup, .page-rate-widget-box .ratedown { background-color: #B0B4CF; border-top: solid 1px #3F497F; border-bottom: solid 1px #3F497F; } .page-rate-widget-box .rateup a, .page-rate-widget-box .ratedown a { color: #3F497F; } .page-rate-widget-box .rateup a:hover, .page-rate-widget-box .ratedown a:hover { background: #3F497F; color: #B0B4CF; } .page-rate-widget-box .cancel { background-color: #3F497F; border: solid 1px #3F497F; } .page-rate-widget-box .cancel a { color: #FFF; } .page-rate-widget-box .cancel a:hover { background-color: #B0B4CF; color: #3F497F; } /* Info Rating Module */ .rate-box-with-credit-button { background-color: #3F497F !important; border: 1px solid #3F497F !important; border-radius: 5px !important; box-shadow: none !important; } .rate-box-with-credit-button .creditButton p a { border-left-color: #3F497F !important; color: #FFF; } .rate-box-with-credit-button .creditButton p a:hover { color: #B0B4CF; } .rate-box-with-credit-button .page-rate-widget-box .cancel { border-radius: 0; } .rate-box-with-credit-button .page-rate-widget-box .rate-points { border-left: 0; } #page-content .rate-box-with-credit-button .creditButton { background-color: #3F497F; border: solid 1px #3F497F; box-shadow: none; } /* Heritage Collection Rating Module */ .heritage-rating-module { background-color: #3F497F; box-shadow: none; } /* Mobile Media Query */ @media (max-width: 479px) { #header { background-position: 0 5.5em; background-size: 55px 55px; } #header h1 a { font-size: 100%; } #header h1, #header h2 { margin-left: 66px; } #header h2 span { letter-spacing: -1.5px; } } /* Small Mobile Media Query */ @media (max-width: 385px) { #header { background-position: 5% 5.5em; } #header h1, #header h2 { margin-left: -webkit-calc(66px + 5%); margin-left: -moz-calc(66px + 5%); margin-left: calc(66px + 5%); } #header h2 span { letter-spacing: -1.5px; } } /* Note Media Query */ @media (min-width: 480px) and (max-width: 580px) { #header { background-position: 0.5em 4.5em; background-size: 66px 66px; } #header h1 a { font-size: 120%; } #header h1, #header h2 { margin-left: 80px; } } /* Mini Tablet Media Query */ @media (min-width: 581px) and (max-width: 767px) { #header { background-position: 1em 4em; background-size: 77px 77px; } #header h1 a { font-size: 140%; } #header h1, #header h2 { margin-left: 93px; } } /* Tablet Media Query */ @media (min-width: 768px) and (max-width: 979px) { #header { background-size: 88px 88px; } #header h1 a { font-size: 160%; } #header h1, #header h2 { margin-left: 106px; } } /* Interwiki */ #side-bar .scpnet-interwiki-wrapper iframe.scpnet-interwiki-frame { border: none; padding: 0; box-radius: 0px; box-shadow: none; background-color: #fff !important; -webkit-filter: hue-rotate(220deg) brightness(126%); filter: hue-rotate(220deg) brightness(126%); } @media (max-width: 767px) { #side-bar .scpnet-interwiki-wrapper iframe.scpnet-interwiki-frame { background-color: transparent !important; } }
요주의 단체 서식용 추가 코드
:root {
--margin-left: 15px;
}
#page-title {
display: none;
}
.report{
width:90%;
margin-left: var(--margin-left);
background:#fdfdfd;
border:1px solid grey;
padding: 15px;
font-size:14px;
}
.summary{
width:90%;
margin:auto;
background:#fff;
border:1px solid grey;
padding: 0 15px 0 15px;
font-size:15px;
}
.yui-navset .yui-content{
width: 90%;
margin-left: var(--margin-left);
}
.yui-navset .yui-nav,
.yui-navset .yui-navset-top .yui-nav{
width: 95%;
border-color: transparent;
border: solid 0px transparent;
margin-left: var(--margin-left)
}
ul {
list-style-image: url(http://scpko.wdfiles.com/local--files/theme%3Arok-gov-theme/square.png);
margin: 15px 0;
padding: 0 5px 0 30px;
}
ul ul, ol ul {
list-style: square;
margin: 15px 0;
padding: 0 0 0 20px;
}
ul ul ul, ol ul ul {
list-style: circle;
}
/* Mobile Media Query */
@media (max-width: 479px) {
:root {
--margin-left: 0px;
}
}
보고서 열람 |
|
|
|
사용자 정보 입력 |
이하 정보는 대통령령 제93275P호 에 의거하여
규정된 인원만이 열람할 수 있습니다.
NPES 사용자명으로 다시 로그인하십시오.
사 용 자 명 : | 길 규 환 |
비 밀 번 호 : | ● ● ● ● ● ● ● ● ● ● ● ● |
길 규 환 국가안보실 제3차장 님, 접속을 환영합니다.
NPES 데이터베이스 불러오기가 완료되었습니다.
지정된 인트라넷 이외의 경로로 접근하고 있습니다.
보안에 각별히 주의하여 열람하십시오.

국가초상방재원
National Paranormal Emergency Service
안녕하십니까, 국가초상방재원장 류민화입니다.

국가초상방재원은 대변칙 총괄대응 책임기관으로서 대한민국 초상안보 수호의 최전선을 지키며, 국민의 안전을 겨누어오는 어떤 미지의 위협도 막아내는 최후의 방패가 되는데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은 초상 현상에 맞서 온 오랜 역사를 갖고 있습니다. 그러나 격동의 시대에 우리는 그 유산을 잃어버렸고, 국내·국외의 다양한 변칙적 위협으로부터 국민과 국가 안보를 지키기 위해 외부 단체의 도움을 받아야 했습니다. 이에 우리는 이 분야를 맡을 최고의 전문가 조직을 만들기로 했고, 12·5 공동성명 이후 국가초상방재원 출범으로 결실을 맺었습니다.
대원 여러분, 우리는 태생부터 공공연히 존재를 드러낼 수 없고 인정받을 수도 없는 존재입니다. 우리가 싸우는 전장은 '정상 너머'에 남아있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의 노력과 헌신은 대한민국을 지키는 가장 비밀스러운 힘이 되어, 누구도 무엇도 감히 넘볼 수 없는 강력한 안보 태세를 만들어낼 것입니다.
국가초상방재원장 류 민 화
원훈
"國民을 爲해 定常 너머로"
국민이 우리의 희생을 알지 못하더라도 언제나 국민의 안전을 위해 헌신해야 한다는 마음가짐과,
정체를 알 수 없는 위험천만한 변칙 현상에 앞장서 뛰어드는 국가초상방재원 대원들의 정신을 나타냅니다.
대원 헌장
우리는 국민 보호와 사회 안정의 사명을 받은
명예로운 대한민국 국가초상방재원의 대원으로서,
초상 위협을 조기에 배제하고 국민의 삶을 수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맹세하며 행동을 다잡는다.
하나. 언제나 국민의 생명을 최우선 가치로 여긴다.
하나. 두려워하지 않고 앞장서서 현장을 누빈다.
하나. 은폐가 곧 국익임을 명심하고 기밀을 엄수한다.
하나. 유관기관과 유기적으로 협조하여 임무를 완수한다.
하나. 정치적 중립을 지키고 헌법 정신에 따라 행동한다.
주요 임무
국내 초상사건 징후 감시
- 전국 주요 지점에 감시 초소 설치 및 운영
- 언론 및 인터넷 상의 이상징후 실시간 감시
- 치안, 소방, 정보 분야 유관기관의 협조 확보
초상사건현장 초도 개입과 통제
- 경찰이 확보한 현장에 대원 파견, 현장 통제권 회수
- 초상 현상의 성질, 위험도 파악 및 대응전략 수립
- 민간인 및 비관계자의 접근 통제
초상 위협 저지 및 국민 보호
- 현장 인원 및 특임대 전력을 통한 대초상 작전 수행
- 초상 물체 및 현상에 노출된 민간인 보호
- 확보한 변칙 개체를 위탁 기관에 송치
초상 범죄 조직 추적 및 검거
- 국내 범죄 조직에 의한 변칙 개체 유통 감시
- 경찰과 협조하여 요주의 초상 범죄 조직 추적
- 주요 혐의자 체포 및 초상 물제 압수
대초상 전술 개발과 장비 도입
- 전국 초상사건 발생 양상 및 당시 대처과정 분석
- 초상 문제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전략·전술 개발
- 대초상 작전용 장비 연구 및 도입, 교리 개발
대초상 분야 국제 협력 증진 및 성과 교류
- 다양한 국제 대초상 기관들과 실무 협력 구축
- 각종 노하우(Know-How) 공유 및 상호 역량 보강
- 국제변칙경찰기구(PANGEA)를 통한 국가간 공조
심볼
태극은 대한민국의 상징으로, 언제나 국민과 국익만을 생각하는 국가초상방재원의 마음가짐을 형상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음양의 조화를 의미하는 태극무늬는 초상 위협을 제압하여 국민의 평온한 일상을 수호하는 국가초상방재원의 임무를 나타냅니다.
괘는 태극과 함께 태극기를 구성하는 상징으로, 태극을 포근히 감싸안는 손길처럼 놓인 형상은 국민을 보호하는 국가초상방재원의 역할을 나타냅니다. 또한 하늘을 뜻하는 건괘와 땅을 뜻하는 곤괘가 겹쳐진 것은 영토, 영공, 영해를 가리지 않는 국가초상방재원의 활동을 보여줍니다.
로고
심볼은 태극기를 간략화한 형상을 나타내어 대한민국 정부기관으로서의 국가초상방재원의 자부심을 상징합니다.
원은 우리나라 전통 방패의 형상을 나타내어 초상 위협으로부터 국가와 국민을 지키는 최후의 방패로서의 국가초상방재원의 사명을 상징합니다.
청룡과 물결은 전통 방패의 아름다운 무늬를 나타냄과 함께 초상 세계의 거친 파도를 헤쳐나가며 국민과 국익을 위해 몸바치는 국가초상방재원의 각오를 상징합니다.
2017년
12월
- 12·5 공동성명 발표.
- 한국 정부와 SCP 재단이 「한반도의 변칙 문제에 관한 한・재단 합의각서」 개정안에 최종 합의.
- 정부조직법 개정안과 「국가초상방재원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국회 통과.
- 대통령령 제93275P호 효력 발효. 국가초상방재원 설립. 류민화 초대 원장 취임.
2018년
1월
- 국가초상방재원 본청사 착공. 임시 청사에서 업무 개시.
- GOC, 사전 합의된 인원 제공 약속을 이행. 방재원 산하 제11대초상특수임무대 창설.
- 국제변칙경찰기구(IAPO) 가맹. 변칙경찰총회(PANGEA) 연락관 파견.
3월
- 지정주시위치 "명천구"의 관할권을 재단으로부터 인계.
4월
- 남북정상회담 개최, 북 이상교화국 측과 최초로 대면 회담 성사.
7월
- 한국 정부와 재단 한국사령부가 한국초상사 연구 문제에 대해 전향적 합의를 도출.
2019년
5월
- 기획국 산하에 연구국 설립.
2020년
2월
- 범지구적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에 대응하여 국내 초상사회 방역을 관리.
《 …Loading… 》
확보한 초상 현상
연루된 사건
내부 보고서
대한민국 국가안보실

- 청사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와대 내부)
- 최고책임자: 서훈 실장
- 주요 업무 협력 부서: 제3차장실
국가안보실은 국가안전보장회의를 주재하는 대통령 직속 보좌기관이다. 1981년 이후 대한민국 정부의 초상 관련 사무는 재단과의 업무 협력 정도로 축소되었으며, 담당 부서는 개각에 따라 변화가 있었으나 2013년 이후로는 국가안보실 3차장실이 맡아왔다.
2017년 류민화 당시 3차장이 신설 국가초상방재원 원장으로 이임한 뒤 현재 길규환 제3차장이 재임 중이다. 12·5 합의로 신설된 대변칙 대응 기능은 대개 국가초상방재원에 집중되었으나, 정부 차원의 관련 사무와 조율 기능은 국가안보실 3차장실이 계속 담당하고 있다.
대한민국 국가정보원

- 청사 소재지: 서울특별시 서초구
- 최고책임자: 박지원 원장
- 주요 업무 협력 부서: 제1차장실
국가정보원은 해외·대북 첩보 및 방첩을 담당하는 대통령 직속 정보기관이다. 방재원 창설 당시 첩보실을 구성하면서 국정원으로부터 인적자원과 노하우를 상당수 이전받은 바 있으며, 현재에도 대외 첩보를 공유하는 등 초상안보 업무에 여러 협조를 받고 있다.
국정원은 중앙정보부와 국가안전기획부의 후신 조직으로, 1973년-1981년 활동한 중앙정보부 제10국은 당시 국내 초상문제를 주관하는 부서로 운영되었다. 제10국은 대한민국 최초의 정부 소속 초상조직이라는 점에서 그 나름의 의의를 갖지만, 한편으론 중앙정보부 산하에서 인권유린 및 초헌법적 권력 행사 등의 문제를 저질러왔고, 재단 등 국제초상사회와 전혀 협력하지 못해 업무능력에서도 한계를 보일 수 밖에 없었다. 방재원은 공식적으로 2017년 신설된 조직이며, 중앙정보부 제10국의 연혁을 이어받지 않았다.
대한민국 경찰청
- 청사 소재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 최고책임자: 김창룡 청장
- 주요 업무 협력 부서: 보안국, 정보국, 지방경찰청
경찰청은 국내 치안 업무를 총괄하는 행정안전부 소속 국가기관이다. 방재원 작전실은 업무 다방면에서 경찰과 협력 관계를 이루고 있다. 경찰의 첩보 및 수사망에 포착된 초상특이동향은 작전실 수사국에 공유되며, 상설주시자산과에서 확보한 비변칙적 범죄 정보는 경찰에 인계된다.
경찰 출동 현장에서 초상물체 또는 초상사건 징후가 포착될 경우 각 지방경찰청에 파견되어있는 초동개입국 경찰합동대응팀을 통해 즉각 방재원으로 상황이 전파되며, 상황의 경중에 따라 기동대응팀이 출동하거나 강행전술국으로 사안이 이첩된다.
대한민국 국방부

- 청사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 최고책임자: 서욱 장관
- 주요 업무 협력 부서: 군사안보지원사령부, 국방정보본부 등
국방부는 대한민국 국군을 휘하에 두며 군정, 군령, 군사사무를 관장하는 중앙행정기관이다. 국방부가 방재원과 협력하는 경우는 크게 두 종류인데, 하나는 대북 군사방첩자산에서 초상활동 징후가 포착되었을 경우, 하나는 국군 내부에서 초상사건이 발생했을 경우이다.
SCP 재단 대한민국 지역사령부

- 본부 소재지: 대한민국 성남
- 최고책임자: "노래마인" 관리이사관
- 주요 업무 협력 부서: 외무부 등
SCP 재단은 초상위협에 대처하는 것을 활동 이념으로 삼는 국제 비영리법인이다. 이들은 엄밀하게 말해 어느 국가에도 등록되지 않았고 어느 국가의 법률에도 구애받지 않는 탈법적 조직이나, 오랜 활동으로부터 그 전문성과 필요성이 인정되어 대초상 문제를 다루기 위해 각국 영토에서 활동하도록 양해를 얻었다. 재단과 GOC 주도 하에 초상성 관리와 정상성 유지에 대한 국제적 합의로써 '장막 조약'이 비준되어 있다.
SCP 재단 대한민국 지역사령부는 SCP 재단의 국내 법인으로, 1948년 이래로 정부와의 협력 하에 국내 초상사건 대처를 전담 위탁해왔다. 국내에서 재단의 활동은 장막 조약과 「한반도의 변칙 문제에 관한 한・재단 합의각서」에 근거한다. 국가초상방재원 설립 이후에도 SCP 재단 대한민국 지역사령부는 주요한 대초상 업무 파트너로서 대한민국 정부와 협력 관계를 지속하고 있다.
세계 오컬트 연합 극동부문 한국지소

- 본부 소재지: 대한민국 서울
- 최고책임자: 작전운영관 "가야금"
- 주요 업무 협력 부서: 판문점 중립국감시위원회 GOC 대표단, 특명전권대사실 등
세계 오컬트 연합(GOC)은 국제 초상 문제를 관장하는 유엔 산하기관이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연합국 측에서 결성한 공동 대초상기관을 전신으로 두고 있으며, 그 역사와 임무의 특수성으로 말미암아 여타 유엔 산하기관보다 독보적으로 강한 독립성을 보유하고 있다.
GOC는 세계대전 이후 대규모 조직 감축으로 인해 뒤이은 한국전쟁에 관여하지 못했고, 1953년 정전협정 당시 중립국감시위원회에 참여하면서 감시위 활동 외엔 한반도에서 활동하지 않기로 합의했으므로 2017년 이전까지 한반도에 활동 거점을 전혀 두지 않아왔다. 2017년 12·5 공동성명에서 재합의된 바에 따라 GOC 극동부문이 한반도까지 활동 영역을 확대하면서 한국지소가 설립되었다.
국제변칙경찰기구

- 본부 소재지: 폴란드 바르샤바
- 최고책임자: 니콜리 제미니 총재
- 주요 업무 협력 부서: 사무국
국제변칙경찰기구(IAPO)는 각국 민간정부에 소속된 대변칙성 치안기관들이 모여 국제 공조 및 협력을 도모하는 국제기구이다. 1924년 프랑스 국가성경대 주도 하에 출범한 국제변칙경찰기구는 현재 54개 회원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로 각국의 초상경찰 조직이 가입해 있으나 경찰 이외의 조직형태라도 가맹은 가능하다. 가맹조직간의 정보 공유와 협력 증진을 위해 매년 변칙경찰총회(General assembly of Abnormal Polices)를 개최하며, 해당 총회의 프랑스어 명칭에서 유래된 PANGEA라는 별칭은 국제변칙경찰기구를 가리키는 통칭으로도 쓰이고 있다.
국가초상방재원은 2018년 정회원으로 가입했고, 원활한 다자 협력을 위해 연락관 사무소를 두고 있다. PANGEA 연락관은 바르샤바 본부에 체류하며 업무를 수행하고 정기 변칙경찰총회에 국가초상방재원 및 대한민국 정부 대표로 참석한다.
톱니장치정통교회 한국교구
수신도

- 색인기호: B122
- 근거지: 대한민국
- 포착 시점: 1948년
- 주관 부서: 정책실 연구국, 첩보실 사회국
수신도는 메카네 숭배와 성리학을 결합시킨 국내 초상종교단체이다. 톱니장치 정통교회의 공식 소속교구이며, 단체의 입장과 교리가 상당히 일치하므로 현재로선 두 단체에 동일한 지정주시단체 색인기호를 적용하고 있다.
문헌조사에 의하면 이들은 조선시대, 늦어도 불어도감 설치보다 훨씬 빠른 시기부터 신앙공동체를 이루어 독자적인 교리를 발전시켜왔다. 활동 거점이나 내부 구조 등은 거의 알려져있지 않고 조직 차원의 위협적인 행보는 적은 편이지만, 신체개조술을 받은 수신도 교인이 개별적으로 목격되는 사례가 꾸준히 보고되고 있다.
셀레스트

- 색인기호: C025
- 근거지: 대한민국 서울
- 포착 시점: 2011년
- 주관 부서: 작전실 수사국, 첩보실 사회국
셀레스트는 서울 시내 학원가를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는 지정주시단체이다. 2000년대 초엽에 최초 결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초상도구 자체 또는 이를 응용한 성적향상 서비스를 판매하여 수익을 올리고 있다. 셀레스트에 가맹한 학원, 출판사, 교구업체의 일부는 대외적으로는 통상의 기업체로 행세하며 정상 영업중이다.
현재 방재원은 재단과 협력하여 셀레스트를 추적하고 있으나, 모기업 셀레스트에 대한 정보 획득은 아직 미진하다. 각 가맹기업에 대한 직접적인 압박은 셀레스트 경영진의 경계를 살 수 있다고 판단되므로, 중대한 위협이 없는 한 셀레스트 가맹기업에 대한 수사는 비밀수사로 진행한다.
두레원
- 색인기호: D073
- 근거지: 대한민국
- 포착 시점: 1973년
- 주관 부서: 정책실 기획국, 첩보실 사회국
두레원은 국내 농촌 지역에서 소규모 활동을 이어가고 있는 미신고 협동조합이다. 이들의 내력은 70년대 중앙정보부 제10국의 지원 하에 활동하던 농업기술연구소 내 변칙농학 연구파트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1981년 해산된 파트원 일부가 자립농학연구조합을 세웠고 이후 두레원으로 변모한 점은 확인되지만, 2020년 이전의 활동은 명확히 알려져있지 않다.
내부 계파는 재단과 방재원에 우호적인 편과 그렇지 않은 편으로 갈리나, 어느 쪽이든 폭력적인 대외 활동을 꺼리는 온건 노선을 견지하고 있다. 보유하고 있는 초상 물체 및 기술의 위험도는 낮은 편이나 국내에서 활동하는 다수의 지정주시단체와 두루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점이 큰 변수이다. 이러한 상황 때문에 두레원은 방재원이 협력 관계로 전환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는 단체이다.
능구렁이 손

- 색인기호: H0D1
- 근거지: 대한민국
- 포착 시점: 1970년
- 주관 부서: 작전실 초동개입국, 작전실 수사국, 첩보실 사회국, 첩보실 국제정보국
능구렁이 손은 장막 정책에 반대하는 국제비밀결사 뱀의 손에 소속된 과격파 무리이며, 국내를 활동 영역으로 삼고 강경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기 때문에 별도의 지정주시단체 색인기호가 부여되었다. 이들은 다른 뱀의 손 조직과 마찬가지로 "도서관"이라 알려진 외부차원상 거점을 이용하고 있어 추적이 어렵다는 점을 세심히 감안해야 한다.
2013년 GOC 극동부문이 국내에서 능구렁이 손을 급습하여 벌어진 일련의 교전 행동으로 인해 능구렁이 손 측에 작지 않은 인적 피해가 발생한 이후 활동이 일시적으로 위축되었다. 해당 사건은 국제 대초상 기관들의 한국내 활동을 재조율하는 데 있어 주요한 계기 중 하나로 작용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가보위성
이상교화국

- 색인기호: N003
- 근거지: 북한 평양
- 포착 시점: 1973년
- 주관 부서: 첩보실 대북정보국
국가보위성은 1973년 5월 사회안전성에서 분리된 이래 북한 내 최대, 최유력 비밀경찰 조직으로 기능하고 있다. 그 산하에 설치된 제9국 이상교화국은 북한 내 초상문제를 담당하는 지정주시단체이며, 김정일 정권 하에서 집중적으로 육성되어 현재는 정찰총국 P국을 완전히 밀어내고 북한의 주요 대초상 기관으로 활동 중이다.
1973년 5월 북한은 사회안전성 정치보위국을 개편하여 독립된 체제유지기관인 국가정치보위부를 설립했다. 당시 북한에는 이미 민관군 각 분야를 막론하고 다양한 감시기관이 병립하고 있었는데, 보위부의 분리 격상은 특히 김정일 세습구도를 확실히 하기 위한 조치였다고 평가되며 실제로 김정일 본인이 보위부 임무에 크게 관여했음이 알려져있다. 같은 시기 보위부 제9국으로써 창설된 이상교화국 역시 대변칙 전문집단임과 동시에 김일성-김정일의 직속 옹위세력으로 기능했다. 이는 변칙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 소련의 영향력을 완전히 지워내고 김씨 일가의 완전한 통제를 성립시키려는 의도였다고 평가된다. 보위부와 이상교화국은 김정은 후계구도 강화에도 마찬가지로 동원되었다.
조선인민군 총참모부 정찰총국
정신전자공학국

- 색인기호: N001
- 근거지: 북한 평양 (추정)
- 포착 시점: 1950년
- 주관 부서: 첩보실 대북정보국
정찰총국 P국은 초기 북한의 대표적인 대변칙 기관으로, 소련군 총참모부 정보총국 P부서의 지원을 받아 한국전쟁기부터 70년대까지 왕성한 활동을 보였다. 조선공산당이나 조선인민공화국 시기의 전신조직에 대한 여러 이설이 존재하지만 공식적으로는 1948년 총참모부 정찰국 정신전자공학국으로 출범한 것이 P국의 기원이다. 2009년 북한이 각종 군내 첩보기관을 병합하여 정찰총국을 창설할 당시 휘하로 편입되었다.
정찰총국의 위상과 별개로, 1970년대 권력경쟁에서 이상교화국에 밀린 이후 P국의 입지와 기능은 사실상 유명무실한 상태인 것이 여러 경로로 확인되고 있다. 1997년의 쿠데타 미수 사건 이후에도 P국의 편제 자체는 존치되고 있으나, 산하 조직과 인력이 70년대 이전에 비해 대폭 축소되었으며 직접 보유하고 있는 변칙개체나 대응병력도 존재하지 않는다. 현시점에서 P국의 임무는 인민군내 변칙현상이나 특이동향을 감시하고 이상교화국에 전달하는 것 뿐으로 파악된다.
엔트로피를 넘어서

- 색인기호: B097
- 근거지: 유럽
- 포착 시점: 1998년
- 주관 부서: 작전실 초동개입국, 작전실 수사국, 첩보실 사회국, 첩보실 국제정보국
엔트로피를 넘어서(Beyond Entropy, BE)는 전세계적으로 활동하는 과격 환경단체이며, 주로 초상성이 관련된 환경 문제를 전문 분야로 삼는다. 이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행동하는 수많은 점조직으로 구성되어 있고 게릴라 전략을 용의주도하게 구사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추적과 소탕이 매우 어렵다. 일부 점조직은 준군사조직에 상당하는 무장과 전투원을 보유하고 있어 안보상 큰 위협으로 간주된다.
2012년부터 2015년까지 BE는 재단, GOC와 대규모 군사적 충돌을 벌였으며, 이는 재단에 대한 스파이 활동이 발각된 BE 측의 선제 공격으로 촉발된 것이었다. 재단 대한민국 지역사령부에 대한 BE의 공격 및 삼자 간의 교전행위로 인하여 국내에서도 상당한 피해가 발생했다. 충돌 당시의 대처에 대한 평가 및 이후 후속조치에 대한 합의를 위해 2017년 재단, GOC, 한국정부 삼자 간의 회담이 개최되어 12·5 공동성명이 발의된 바 있다.
뱀의 손

- 색인기호: H001
- 근거지: 불명
- 포착 시점: 1967년
- 주관 부서: 첩보실 국제정보국
뱀의 손은 재단과 GOC 중심으로 구축된 현 초상질서에 반대하는 국제비밀결사이다. 이들은 구성원이나 조직 형태가 자유분방하여 그 이념이나 행동 원리를 단순하게 정리하기 어렵지만, 대개 장막 정책에 반대하고 초상성을 대중에 공개하여 지적 초상생명체를 해방하는 것을 주된 주장으로 삼고 있다. 이들의 주장은 국제사회가 합의한 현 체제에 정면으로 배치되고 이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해 폭력적 수단을 마다하지 않기 때문에 지정주시단체 중에서도 위험도가 높다.
국내의 뱀의 손 활동은 대부분 지부 격인 능구렁이 손(H0D1)에 집중되어 있고, 드물게 일본계 뱀의 손 조직인 청대장과의 교류가 발견된다. 이에 따라 뱀의 손 활동에 대한 방재원의 대응은 능구렁이 손에 집중되어 있다. 국제 뱀의 손에 대해선 국제정보국의 광범위한 첩보 활동 및 재단과의 정보 교환으로 큰 추세를 파악하는 것 위주의 대처가 이루어진다. 능구렁이 손 관련 정보는 "국내의 초상 활동"을 참고할 것.
이상사례조사국

- 색인기호: J001
- 근거지: 일본
- 포착 시점: 1948년
- 주관 부서: 정책실 연구국, 작전실 수사국, 첩보실 국제정보국
일본제국 이상사례조사국(IJAMEA)은 구 일본제국의 대초상기관으로, 공식적으로 1945년 일제 패망과 함께 해체되었으나 일부 잔존 일파가 활동중인 것으로 파악된다. 이들 중 조직적 활동을 견지하는 일파는 스스로를 "숨은 장군"이라 지칭하며 지하 활동을 계속하고 있다. 많은 증거로 비추어 볼 때 국내에도 여전히 소수의 숨은 장군 활동이 존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자메아와 부호부대는 일제 초상기관으로서 대한제국 이금영과 보전원의 유산 일부를 차지했고, 해체 후 그들의 자산은 재단과 북한, 중정 10국 등에 확보되었다. 한반도 초상사 연구에 있어 이자메아가 중요한 탐구 대상임을 부인할 수 없으므로, 연구국은 국내에 남아있는 이자메아 관련 사료를 지속적으로 수집하고 있다.
사슴대학

- 색인기호: T430
- 근거지: 스리포틀랜즈
- 포착 시점: 1948년
- 주관 부서: 첩보실 국제정보국
사슴대학은 해외 초상사회의 주요 고등교육기관 중 하나로, 국내에서 활동하거나 국내 초상안보에 영향을 주는 지정주시인물 중에는 사슴대 출신자가 적지 않다. 변칙경찰총회 의결사항에 따라 사슴대를 비롯한 초상교육기관에 자국민이 진학하는 것을 금지할 수 없으나, 해당하는 인물에 대한 신원추적은 지속하고 있다.
원더테인먼트 박사

- 색인기호: W110
- 근거지: 미국 (추정)
- 포착 시점: 1970년
- 주관 부서: 작전실 초동개입국, 첩보실 국제정보국
"원더테인먼트박사"는 주로 아동용 완구를 제조·판매하고 있는 해외기업으로, 국내 시장에서도 유통 사례가 다수 적발된 바 있다. 사업체 등록이나 정보공개가 이루어지지 않은 불법 업체로 세관 단속 대상이지만 개별 밀수나 초상사회 루트를 통해 유입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원더테인먼트사의 완구는 초상성 여부를 불문하고 대개 안전기준을 비롯한 다수의 국내법령에 저촉되는 제품들이므로 기본적으로 전량 회수하도록 지정되어 있다.
《 …Loading… 》
국가초상방재원을 다루기 전에
환영합니다. 대한민국에서 벌어지는 초상사건들을 다뤄보고 싶으시다면, 대한민국의 UIU나 국가성경대 역할을 할 단체를 원하신다면, 대한민국에서 여러 단체들이 얽히고 섥히며 정치 싸움과 협력 전선을 펼치는 글을 쓰고 싶다면, 잘 찾아오신 겁니다.
우선 대한민국 국가초상방재원의 기본적인 제반 사항을 알아봅시다.
- 국가초상방재원은 2017년 12월 창설된 대통령 직속 대초상기관입니다.
- 국내 초상사건에 신속 대응하기 위한 경계 및 수사 자산과 소속 특수부대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변칙성 개체를 직접 소유하지 못하며, 확보한 변칙 물체는 재단에 인계합니다.
- 기적학, 기억소거제 등의 초상기술도 보유할 수 없습니다.
보시다시피 방재원은 창설도 매우 늦은 편이고, 역할과 기능에도 제약이 많이 걸려 있습니다. 대한민국은 왜 초상문제를 다루는 데 이런 제한을 갖게 된 것일까요? 이것을 이해하기 위해선 몇가지 기반 작품을 읽을 필요가 있습니다.
위 문서들은 개별 작품의 시점에서 역사의 파편들을 묘사하고 있기 때문에 쉽게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좀 더 친절한 설명을 준비해뒀으니 계속해서 읽어주세요.
방재원 이전의 한반도 현대 초상사
1953년 한국전쟁의 휴전 협정이 체결되었습니다. 이때 한반도 남부의 대한민국 정부와 유엔군 영역에서 초상 문제를 담당하는 조직은 SCP 재단 대한민국 지역사령부 뿐이었습니다. 미군은 주한미군이라는 제한적 틀로 주둔하는 이상 대한민국 전역의 초상문제를 담당하기에 부적합했고, GOC는 사정상 한국전쟁에 참여하지 못했던 탓에 판문점 중립국 감시위원회에 이름을 올린 후 한반도 변칙 문제에서 손을 뗐으며, 대한민국 정부는 현실적으로 초상성을 다룰 상황이 전혀 아니었습니다.
대한민국 정부는 관련 문제에 대해 거의 전권을 재단 한국사령부에 위임했으며, 이후 한국사령부는 57년 동안 대한민국 영토에서 발생하는 모든 초상사건을 전담하는 유일한 조직으로 기능해왔습니다. 중간에 8년 동안 중앙정보부 제10국과 경쟁한 시기도 있었지만 중정 폐국과 함께 대세는 재단 한국사령부에게 돌아왔습니다. 이때 작성된 「한반도의 변칙 문제에 관한 한・재단 합의각서」, 통칭 피어슨 각서는 한국정부가 독자적인 대변칙 기능을 포기하고 재단에 다시 전권을 위임한다는 내용의 협정이었습니다.
피어슨 체제는 거의 30여년 동안 잘 작동했습니다. 그러나 어느 순간부터 상황은 급변하며 요동치기 시작합니다.
※ 아래 사건 및 상황들은 각자 독립적으로 설정된 것입니다. 작품에 따라 이중 일부만 취사선택해서 나머지를 논카논 처리할 수도 있고, 합쳐넣어서 연결시킬 수도 있습니다.
-
- _
- 1998년, 조선인민군 정신전자공학국 (이하 P국) 인원 다수가 연루된 쿠데타 시도가 적발됩니다. 숙청을 피한 관련자들이 제각기 탈북하면서 대한민국에 북한발 초상기술이 대거 유통되며, 이들을 처리하고자 이상교화국까지 개입하면서 일대 혼란이 벌어집니다. 한편 IMF 외환위기의 여파로 민간기업이 보유중이던 초상기술이 다수 매각되는 등, 일련의 상황 속에서 한국 초상사회의 균형이 깨지고 맙니다.
그동안은 재단의 압도적인 입지만으로도 안정을 유지해왔지만, 사정이 이렇게 되자 한국사령부는 대한민국 내에 풀려나 있는 변칙 물체들, 기술들, 인물들을 대대적으로 색출해 확보하기 시작했습니다. 국내 요주의 요소 추적 작전으로 명명된 98년의 대대적 소탕 작전은, 당하는 입장에선 "변칙 대토벌 작전"이라 부를 만큼 가혹하고 철저한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극단적인 대처는 그 속에서 살아남은 요주의 인물들로 하여금 독기를 품게 만들어, 후일 더 큰 문제들로 돌아오게 됩니다.
-
- _
- 2012년, BE의 스파이 행위 발각으로부터 촉발된 재단-GOC-BE 간의 삼각분쟁은 3년에 걸쳐 은밀하면서 격렬한 충돌을 불러왔습니다. 재단의 주요 활동지역 중 하나인 대한민국 또한 공격을 피할 수 없었습니다.
국가초상방재원 관련 작품은 필요할 경우 대한민국 정부 CSS 테마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가장 기본적인 적용 방법은 아래 코드를 페이지 최상단에 삽입하는 것입니다.
[[include :scpko:theme:rok-gov-theme]]
이때 헤더의 메인 타이틀은 디폴트값인 "국가초상방재원"으로 표시되며, 로고와 영문명 역시 방재원의 것으로 표시됩니다. 이는 기본적으로 방재원 설정을 위해 만들어진 본 테마의 기본 설정값입니다.
하지만 설정상 방재원이 존재하지 않았던 2017년 이전을 다룰 때나, 방재원 외의 국가기관을 다룰 때는 다른 헤더가 필요할 것입니다. (가장 좋은 예시로 헤더가 "국가안보실"로 설정되어 있는 본 허브가 있습니다.) 이 경우엔 아래의 확장된 코드를 대신 삽입하십시오.
[[include :scpko:theme:rok-gov-theme
|alt= 1
|header= rok-gov
|title= (기관 이름)
|subtitle= (기관 영칭)
]]
'alt=1'은 기본 설정값 이외의 헤더를 사용하겠다는 선언입니다. 'header=rok-gov'는 대한민국 정부상징을 로고로 사용하겠다는 선언입니다. (저작권 관계상 실제 정부상징이 아닌 유사하게 만든 대체 도안임에 양해를 부탁드립니다.) 'title'과 'subtitle'에는 각각 필요한 정부기관의 한국어, 영어 명칭을 기입해주십시오. 기관명 및 영칭은 링크한 문서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이 테마를 국가초상방재원 GOI 서식에 활용할 땐 앞서 제시된 코드 대신 아래의 코드를 입력해주십시오.
[[include :scpko:theme:rok-gov-theme
|format-disable=0]]
디폴트값인 'format-disable=1'은 테마에 작성된 CSS 코드 중에서 요주의 단체 서식에 필요한 부분을 비활성화하는 선언입니다. 따라서 서식용 테마로 활용하려면 이를 0으로 재선언해야 합니다.
'format-disable=0'으로 선언하였을 때 테마상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페이지 제목 표시가 비활성화됩니다.
- 서식에서 사용하는 기본 div 틀인 report 선택자가 선언됩니다.
- 탭 구문의 외형이 report와 동일하게 변경됩니다.
- report와 탭 박스의 마진값이 환경에 따라 적절히 선언됩니다.
- 리스트 구문의 블릿, 즉 글머리표가 공문서에 쓰이는 양식으로 변경됩니다.
서식의 내용을 작성하는 방법은 다음 탭을 참고해주십시오.
alt와 format-disable을 동시에 활용하고 싶을 땐 |format-disable=0을 alt 확장 코드에 새 줄로 끼워넣으시면 됩니다. 단, 다른 정부기관을 활용해 서식을 작성했을 경우 GOI 서식이 아닌 이야기로 취급될 수 있으니 이 점은 주의해주십시오.
서식을 만들기 전에
국가초상방재원 서식은 정부 보고서의 형태를 차용하고 있으며, 좋은 레퍼런스를 따를수록 더 그럴듯한 서식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하 서식 양식은 제작 과정에서 대통령 비서실의 2006년판 보고서 작성 매뉴얼을 크게 참고했습니다. 서식 문서 작성에 어려움을 느낀다면 읽어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단, 해당 매뉴얼 자체는 공공누리 선언이 되어있지 않으므로 문서 내의 문장을 그대로 가져오는 건 불가능하니 주의 바랍니다.)
그 외에도 정부 문서 서식을 참고할 수 있겠으나, 그 범위는 가급적 공연히 공개되어 있는 소스로 제한해주십시오. 민간 공개 대상이 아닌 레퍼런스를 활용했다가 문제가 발생할 경우 책임은 작가 본인에게 있습니다.
1. 페이지 생성
우선 페이지를 생성합니다. (초안 작성은 샌드박스를 이용해주십시오.) 이때 url은 대략 다음과 같은 규칙으로 입력합니다.
/npes-(연도)(색인기호)(사건번호)(문서순번)
- 연도 - 최초작성연도나 중요시점의 연도 중에서 적절히 선택해 4자리 숫자로 입력하십시오.
- 색인기호 - 관련된 요주의 단체나 장소 등이 없다면 생략하십시오. 더 자세한 설명은 아래 참조.
- 사건번호 알파벳+두자리 숫자로 랜덤하게 선택하십시오.
- 문서순번 같은 사건에 대해 문서가 여럿 필요하다면 ABC 순서로 덧붙이십시오.
예를 들어 SCP-943-KO 관련 서식의 url은 /npes-2019c025m01입니다. C025는 지정주시단체 셀레스트의 색인기호이고, M01은 해당 사건의 고유번호입니다.
현재까지 정해진 지정주시대상들과 색인기호는 다음과 같습니다. 만약 다루고자 하는 대상의 색인기호가 표에 없다면, thd-glasses에게 문의하십시오.
페이지의 실제 제목은 url과 똑같은 요령으로 아래와 같이 입력합니다.
보고서 열람: (연도)(지정주시번호)(사건번호)(문서순번)
2. 테마 선언과 제목 작성
앞선 탭에서 말씀드렸다시피, 서식을 작성하려면 먼저 다음 구문을 입력해 테마를 적용해야 합니다.
[[include :scpko:theme:rok-gov-theme
|format-disable=0]]
이렇게 테마를 적용하면 본래의 페이지 제목이 표시되지 않으므로, 다음 양식을 입력하여 대체 제목을 만들어주어야 합니다. 원한다면 정렬 구문과 [[module Rate]]를 지우고 적절한 정보모듈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include :scpkrsandbox:component:npes-title-start
|cover=보고서 열람]]
[[>]]
[[module Rate]]
[[/>]]
[[include :scpkrsandbox:component:npes-title-end
|subject=(여기에 대체 제목을 입력)|padding=5%]]
이때 대체 제목은 실제 페이지 제목을 그대로 쓰는 것이 아니라 풀어서 적습니다. 지정주시번호는 본래의 명칭으로 적거나 병기하며, 일반적으로는 '~~호 사건' 형태로 기입합니다. 만약 문서순번 알파벳이 있다면 사건 A, 사건 B와 같이 덧붙이십시오. /npes-2019c025m01을 다시 예로 들면 대체 제목은 셀레스트 M01호 사건이 됩니다.
3. 본문 박스 배치
서식의 본문으로는 두 종류의 박스를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나의 서식 문서는 이러한 본문 박스들을 여럿 나열하는 방식으로 주로 구성됩니다.
1. report div
[[div class="report"]]
(여기에 본문 입력)
[[/div]]
2. tabview
[[tabview]]
[[tab 탭 명칭]]
(여기에 본문 입력)
[[/tab]]
[[/tabview]]
전자는 하나의 박스를 만드는 방법이며, 후자는 아시다시피 탭뷰와 복수의 탭을 생성하는 방법입니다. 한 페이지로 만든다면 전자를, 여러 페이지가 필요하다면 후자를 사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 중에 하나만 사용해야 하는 것도 아니므로 div 박스와 탭뷰를 여럿 늘어놓으면서 더 그럴싸한 문서철을 만들 수 있습니다.
모든 박스의 최상단에는 아래 코드를 삽입해 비밀 표지를 부착해야 합니다. 탭뷰의 경우 각 탭마다 모두 삽입해주십시오.
[[include :scpkrsandbox:rok-secret
|class=1 or 2]]
거의 모든 문서에 'class=2'를 사용하면 된다고 생각하십시오. 국가초상방재원의 존재 자체가 2급 비밀로 설정되어있기 때문에 3급 비밀 문서는 있을 수 없으며, 1급 비밀은 현실에서도 전시 부대이동 계획 등 많아야 십수개의 자료만 지정되어 있을 정도로 드뭅니다.
비밀 표지 아래에는 작성자 정보와 문서 제목을 기입합니다. (탭뷰의 경우 첫번째 탭만 해당합니다.)
[[include :scpkrsandbox:component:npes-info
|position=(소속 부서)
|grade=(계급)
|name=(이름)]]
~~~~
@@@@
@@@@
[[include :scpkrsandbox:component:npes-headline
|bg=(문서 유형)
|headline=(제목)
|date=(날짜)]]
@@@@
@@@@
- 소속 부서 - 위의 첫번째 탭뷰에 있는 "조직도" 탭을 참고해서 기입하십시오. 원장·차장 직속 실의 경우 실 단위만, 일반 부서의 경우 실과 국 단위까지 기입하면 됩니다. "비서실", "첩보실 사회국" 등이 예시가 됩니다.
- 계급 - 공무원 계급에 맞는 아라비아 숫자, 또는 군사 계급으로 기입하십시오. 계급의 경우 대략 4급에서 7급 사이면 적절할 겁니다.
- 이름 - 방재원 요원들은 보고서에 실명을 사용합니다. 이름을 지어내기 어려울 때 사용할 수 있는 무난한 대안책은, 실제 정보기관 보고서에서 종종 그러듯이 이름을 "ㅇ ㅇ ㅇ"으로 대체하는 것입니다.
- 문서 유형 - 방재원 보고서는 크게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며, 보고서 종류는 제목 표지의 색상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습니다. 각 유형을 어떻게 활용해야 할지는 다음 탭의 "보고서 유형의 대분류" 단락을 참조하십시오.
- 정책 보고서 ('bg=policy') - 개별 사건과 별개로 방재원의 정책 계획·결정·집행결과 등을 정리한 보고서입니다.
- 상황·정보 보고서 ('bg=information') - 수집된 정보나 개략적인 현 상황을 정리한 보고서입니다.
- 회의 보고서 ('bg=meeting') - 특정한 내부 회의 내용을 기록한 회의록입니다.
- 사후 보고서 ('bg=after') - 사건이 종료된 이후의 추가 보고서입니다.
- 제목 - 공문서 제목으로 그럴듯하도록 지어주십시오. 위에 링크한 매뉴얼을 참조하거나 다른 서식 작품들의 예시를 따라하는 것도 좋습니다. PC 기준으로 한 줄을 초과하지 않도록 간결하게 짓는 것을 추천합니다.
- 날짜 - 작중 시점으로 작성일을 정해 기입하십시오. 여러 박스를 나열할 땐 작성일 순으로 배치합니다.
4. 본문 작성
회의 보고서를 제외한 보고서 유형들은 많은 경우 제목 바로 아래에 개요 상자를 만들어 해당 문서의 요점을 정리해둡니다. 개요 상자를 만들기 위해 아래 구문을 기입하십시오.
[[div class="summary"]]
(여기에 개요 입력)
[[/div]]
@@@@
@@@@
개요 상자를 포함해 방재원 보고서의 본문은 명사형 어미와 개조식 문체를 사용하십시오. 표현을 간결하게 하고 요점만 부각시키기 위해 실제 정부 보고서에서도 개조식 표현을 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마침표는 사용해도 좋고 사용하지 않아도 좋지만, 각 문서 내에서는 일관된 쓰임을 견지해주십시오.
보고서 본문은 리스트 구문으로 구성됩니다.
1. 제1단은 리스트 구문을 이용하지 않고 텍스트로 직접 숫자를 입력하여 생성합니다. 들여쓰기가 되지 않으므로 두 줄 이상으로 늘어나는 본문 내용을 기입하기엔 부적절하며, 단락 제목으로 활용하면 좋습니다. 단락 제목 없이 본문만 작성하는 경우엔 생략하십시오.
- 제2단은 '*'을 입력하여 생성하는 리스트 구문의 최상위 단입니다. 공문서에서 자주 보이는 네모꼴 글머리표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실질적으로 본문에 해당하는 단이며, 적지 않은 경우에 제1단을 생략하고 최상위 단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 제3단은 리스트 구문의 차상위 단입니다. 제2단의 서술을 보충하는 세부사항을 언급할 때 활용하십시오.
- 제4단은 여러가지 활용법이 있는데, 하나는 제3단과 마찬가지로 상위 단의 서술을 보강하는 것입니다.
- 다른 방법은 제4단이 표시되지 않도록 만들어 제3단끼리 붙어있는 곳에 끼워서 여백을 주는 데 쓰는 것입니다. 이 서식의 페이지 소스를 확인해 어떻게 활용되었는지 확인해보십시오.
- 제4단은 여러가지 활용법이 있는데, 하나는 제3단과 마찬가지로 상위 단의 서술을 보강하는 것입니다.
- 제3단은 리스트 구문의 차상위 단입니다. 제2단의 서술을 보충하는 세부사항을 언급할 때 활용하십시오.
본문을 어떤 문체로 작성해야 할지 감이 오지 않는다면 앞서 제시한 매뉴얼을 읽거나, 기존 방재원 서식 작품들을 참조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래도 헷갈리는 부분이 있다면 thd-glasses에게 도움을 요청하십시오.
각 페이지(탭/박스)는 A4 비율에 맞춰서 끊어도 좋고, 인쇄물 형태를 의식하지 않고 내용에 따라 잘라도 좋습니다. 페이지가 끝나면 아래 코드로 쪽번호를 붙여주십시오. 탭의 경우 각 탭마다 1 대신 올바른 페이지 번호를 기입하시면 됩니다.
@@@@
@@@@
= [[size 15px]]- 1 -[[/size]]
이제 기술적으로 div 상자나 탭뷰를 이용하여 보고서 형태를 만드는 법을 익혔습니다. 이제 보고서들을 어떻게 나열해야 할지, 어떤 내용으로 구성해야 할지 차근차근 알아봅시다.
전체적인 보고서 구성 자체가 헷갈리신다면 앞서 소개드린 매뉴얼을 다시 참고하셔도 좋고, 이미 투고된 보고서 서식들을 참조하는 것도 좋습니다. 핵심적인 아이디어는 발견부터 종결까지 시간순으로 작성된 보고서들이 사건 단위로 묶여서 최종 서식으로 완성된다는 것입니다.
1. 보고서 내용을 작성할 때 유의할 점
- 보고서는 기본적으로 정리한 정보를 필요한 사람에게 제공하는 것이 목적인 문서입니다. 그 내용은 단순히 의사결정이나 업무진행에 필요한 참고자료일 수도 있고, 승인을 요청하는 결재 서류일 수도 있습니다. 보고서가 작성된 시점에서 보고를 받는 사람은 이 문서를 아직 읽지 않았을 것이므로 이를 고려해서 표현의 시점을 결정하는 게 좋습니다.
- 아닐 때도 있지만, 많은 경우 보고서는 정보를 필요로 하는 여러 수신자에게 똑같이 전달될 것을 전제합니다. 꼭 보고 대상을 방재원장으로 상정하고 쓸 필요는 없다는 겁니다. 여기에서 회의록은 원장이 이미 참석한 회의이지만, 각급 부서에 회의결과를 전달하기 위해 재차 기록된 것입니다.
- 보고서는 명사형 어미와 개조식 문체를 사용하되, 문장을 이해하는데 지장이 없어야 합니다. 연결사와 문장부호를 적절히 활용하면 보고서 문체를 흉내내면서도 읽기에 편한 문장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한자와 먹칠은 적소에 추가해서 현실감을 높일 수 있지만, 읽는 데 방해가 될 만큼 남용해선 안됩니다.
- 보고서의 모든 부분을 완벽하게 작성하려고 하지 않아도 됩니다. 실제 보고서가 아니라 창작물이라는 것을 염두해서, 독자가 알아야 하는 정보에 집중하세요. 원래라면 5페이지를 넘겼을 보고서라도 첫 쪽만 뽑아서 서식에 삽입해도 됩니다. 디테일한 정보는 별첨 문서를 참조하라고 해두고 별첨 문서는 작성하지 않아도 됩니다. 쓰기 편하고 읽기 편한 서식을 목표로 삼으세요.
- 개요 상자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세요. 개요 상자에는 보고서 전문의 요지를 요약해서 그것만 읽어도 보고서의 목적과 중요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게 중요합니다. 실제 보고서에서도 그런 목적으로 사용될 뿐더러, 독자들이 보고서 양식에 주눅들지 않고 쉽게 내용을 이해할 수 있게 도와줄 수 있습니다.
2. 보고서 유형의 대분류
방재원 보고서 서식은 크게 네 유형에 해당하는 작은 보고서들을 여러개 나열하는 형태를 가집니다. 각 보고서는 유형에 맞는 제목 박스를 사용해서 쉽게 구분됩니다. (방법은 앞선 탭의 "본문 박스 배치" 단락을 참조하십시오.)
-
- _
정책 보고서는 말 그대로 방재원이 향후 활동할 전반적인 방향부터 세부적인 계획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정책을 수립, 결재, 진행하는 과정에서 작성되는 보고서입니다. 새로운 정책을 입안하거나, 변화한 상황에 맞춰 기존 정책을 수정하거나, 정책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참고자료를 제시하는 등의 목적으로 정책 보고서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정책 보고서는 현재까지의 정보와 미래의 계획을 동시에 다룬다는 점에서 다른 유형들과 구분됩니다. "이 보고서 시점에서 상황은 이러하며, 이후로 방재원은 이렇게 행동할 것이다"라는 메시지를 독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은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 아래 예시에선 향후 계획을 서술함으로써 현재 방재원은 초상능력을 가진 용의자는 재단에 넘기고 있다는 사실, 기타 용의자들은 법원을 거쳐 평범하게 형 집행을 받는다는 사실, 기억소거를 수행하려면 재단의 협력을 받아야 한다는 사실 등을 전달하고 있습니다.
방재원장이나 청와대로 올라가는 정책 보고서는 주로 기획국이나 비서실이 작성하지만, 각 부서들도 얼마든지 정책 보고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전문적 정보를 담은 정책 참고 보고서일 수도 있고, 실장 보고용 부서 내부 정책 보고서일 수도 있겠죠.
-
- _
2 급 비 밀
S E C R E T정책실 기획국 6급 백 시 온 P-████ (███-████) 교정시설 포화에 따른 초상사건 수용자 구금 대책 2021. 6. 11. 국내 교정시설 수용률 포화가 지속되면서 초상사건 관련 미·기결 수용자들의 구금 유지가 어려워지고 있음. 정책연구 결과, 재단 협조를 통해 초상 경범죄 기결수를 기억소거 조치 후 가석방 대상에 포함할 것, 수사 및 공소지원을 강화하여 미결 구금 기간을 단축할 것, 신축 교도소들의 운영이 개시되면 즉시 해당 시설을 우선활용할 수 있도록 행정준비를 갖출 것 등이 제안됨.
※ 관련 회의기록 : "교정시설 포화문제에 대한 과장급 실무위 회의록"
- 법무부 교정본부에 따르면 국내 교정시설 수용률은 최근 5년간 평균 115.8%로 최대 수용 인원을 상시 초과하고 있음.
-
- 별첨 1. 교정개혁위원회 「교정시설 내 과밀수용 개선 권고」 참조
-
- 보안관계상 초상범죄자들은 분리수용이 필수적이므로 수용공간 부족에 특히 취약함.
- 문제가 장기화될 경우, 법무행정에 따라선 구금 조치가 더 필요한 초상혐의자까지 미결수용자 석방이나 수형자 가석방 등의 조치로 풀려날 우려가 있음.
- 본안에 대하여 기획국 및 수사국 내 과장급 실무위를 소집하여 논의한 결과는 다음과 같음.
- 장기수형자 및 재범자를 재단 측 수용시설에 이관하는 방안은 사법부 판결에 따른 형 집행에 어긋나므로 법리 검토가 더 필요하며, 실현 가능성은 부정적. 현행대로 초상성 보유자에 한해서 재단에 인계하는 것으로 잠정 결론.
- 비초상범죄라면 가석방 대상에 포함되었을 경범죄자의 경우, 재단 협조를 통해 기억소거를 거친 후 가석방할 수 있도록 할 것.
- 수사국 및 법무과는 교정개혁위의 미결수용자 감축 협력 요청에 따라 수사와 공소지원 단계의 업무를 중점적으로 보강하여 구금 및 재판기간을 단축하도록 힘쓸 것.
- 법무부 차원에서도 시설 확충을 진행중이므로, 신축·이전에 따라 생겨날 수용공간에 효율적으로 수용자를 배치할 수 있도록 대비할 것. 이감대상 선정, 법무부 협력 확보, 신규수용자 대책 등이 필요.
- 별첨 2. 법무부 「교정시설 과밀수용 해소 종합대책」 참조
- 장기수형자 및 재범자를 재단 측 수용시설에 이관하는 방안은 사법부 판결에 따른 형 집행에 어긋나므로 법리 검토가 더 필요하며, 실현 가능성은 부정적. 현행대로 초상성 보유자에 한해서 재단에 인계하는 것으로 잠정 결론.
- 1 -
-
- _
[[div class="report"]]
[[include :scpkrsandbox:rok-secret
|class=2]][[include :scpkrsandbox:component:npes-info
|position=정책실 기획국
|grade=6급
|name=백 시 온]]
~~~~
@@@@
@@@@
[[include :scpkrsandbox:component:npes-headline
|bg=policy
|headline=교정시설 포화에 따른 초상사건 수용자 구금 대책
|date=2021. 6. 11.]]@@@@
@@@@[[div class="summary"]]
국내 교정시설 수용률 포화가 지속되면서 초상사건 관련 미·기결 수용자들의 구금 유지가 어려워지고 있음. 정책연구 결과, 재단 협조를 통해 초상 경범죄 기결수를 기억소거 조치 후 가석방 대상에 포함할 것, 수사 및 공소지원을 강화하여 미결 구금 기간을 단축할 것, 신축 교도소들의 운영이 개시되면 즉시 해당 시설을 우선활용할 수 있도록 행정준비를 갖출 것 등이 제안됨.※ 관련 회의기록 : "교정시설 포화문제에 대한 과장급 실무위 회의록"
[[/div]]@@@@
@@@@* 법무부 교정본부에 따르면 국내 교정시설 수용률은 최근 5년간 평균 115.8%로 최대 수용 인원을 상시 초과하고 있음.
* __별첨 1. 교정개혁위원회 「교정시설 내 과밀수용 개선 권고」__ 참조
* 보안관계상 초상범죄자들은 분리수용이 필수적이므로 수용공간 부족에 특히 취약함.
* 문제가 장기화될 경우, 법무행정에 따라선 구금 조치가 더 필요한 초상혐의자까지 미결수용자 석방이나 수형자 가석방 등의 조치로 풀려날 우려가 있음.* 본안에 대하여 기획국 및 수사국 내 과장급 실무위를 소집하여 논의한 결과는 다음과 같음.
* 장기수형자 및 재범자를 재단 측 수용시설에 이관하는 방안은 사법부 판결에 따른 형 집행에 어긋나므로 법리 검토가 더 필요하며, 실현 가능성은 부정적. 현행대로 초상성 보유자에 한해서 재단에 인계하는 것으로 잠정 결론.
,, ,,
* 비초상범죄라면 가석방 대상에 포함되었을 경범죄자의 경우, 재단 협조를 통해 기억소거를 거친 후 가석방할 수 있도록 할 것.
,, ,,
* 수사국 및 법무과는 교정개혁위의 미결수용자 감축 협력 요청에 따라 수사와 공소지원 단계의 업무를 중점적으로 보강하여 구금 및 재판기간을 단축하도록 힘쓸 것.
,, ,,
* 법무부 차원에서도 시설 확충을 진행중이므로, 신축·이전에 따라 생겨날 수용공간에 효율적으로 수용자를 배치할 수 있도록 대비할 것. 이감대상 선정, 법무부 협력 확보, 신규수용자 대책 등이 필요.
* __별첨 2. 법무부 「교정시설 과밀수용 해소 종합대책」__ 참조= [[size 15px]]- 1 -[[/size]]
[[/div]]
-
- _
상황·정보 보고서는 사건, 단체, 인물, 정책 등에 대한 현 시점의 주요 정보를 취합하여 제시하는 보고서입니다. 디테일한 사실관계나 현황, 분석 데이터 등을 제시하기 가장 좋은 유형이면서, 동시에 간결성과 적시성이 고도로 요구되는 유형이기도 합니다. 즉 보고서 제목에 입력한 날짜의 최신 정보를 가능한 한 간결하게 정리해서 작성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상황·정보 보고서는 활용법이 무궁무진한 유형입니다. 묶음 도입부에 정기 보고서 형태로 삽입하여 일상적인 업무가 특정한 작전행동으로 전환하는 것을 묘사할 수도 있고, 지정주시단체의 특이동향을 정리해서 향후 벌어질 사건의 등장인물을 미리 소개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으며, 강행전술국 소속 부대들의 임무 행동 결과를 설명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아래 예시에선 셀레스트 산하 기업체의 수상한 공장 시설을 지속적으로 감시한 내용을 정기 보고 형식으로 서술하고 있습니다. 뒷 페이지와 이전 정기보고가 설정상 존재한다는 것을 어필하면서도 한 페이지만으로 작중 상황을 잘 간추려서 묘사하고 있습니다.
주로 작전실과 첩보실에서 해당 사건에 대한 감시동향이나 임무 진척사항을 보고할 때 상황·정보 보고서를 활용하게 될 것입니다. 그렇지만 정책의 추진 상황, 부서 현황 등을 보고할 때도 활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쓰임새를 생각해봅시다.
-
- _
2 급 비 밀
S E C R E T첩보실 사회국 7급 김 동 환 P-████ (███-████) "Celeste"의 國內 생산 설비 감시 경과 보고 (5차, 종합) 2019. 1. 20. 지정주시단체 C025 "셀레스트"의 가맹사업체로 확인된 문구제조사 "㈜플루토商社"의 생산 설비를 '18. 11. 20.부터 감시한 결과, 최소 3차례의 폭파 실험을 포함한 특이 동향이 다수 포착됨. 제품은 극초소형 탄도유도탄, 위험성 높음. 설비는 1개 생산라인으로 구성, 공정은 거의 완비된 것으로 보이나 현시점까지는 완제품 대량생산이나 반출 조짐은 없음. 감청 결과 납품계획에 차질 발생한 것으로 확인. 양산 돌입 전 즉각 개입행동 요함.
- 초동개입국 상설주시자산과 영서제1감시소는 '18. 11. 19. 새벽, 화천 교외에 위치한 ㈜플루토상사 소유 공장에 요주의 인물 ███이 출입하는 것을 탐지함. ███은 국내 불법초상조직 "셀레스트"의 조직원이며 조사 결과 ㈜플루토상사 사외이사직을 맡고 있었음. 이를 보고받은 상설주시자산과는 해당 사실을 즉시 수사국과 첩보실 사회국에 전파함.
- 수사국과 사회국은 본 사안을 "셀레스트" 관련 사건으로 판단, C025 합동 TF에 배당함. TF는 ㈜플루토상사와 셀레스트의 배후 접점을 조사하는 한편 해당 사업체의 상세한 정황을 파악하기 위해 잠복 수사를 수행하기로 결정하고 현장팀을 구성함.
- 잠복 거점으로 영서제1감시소 제7감시초소 산하에 7A, 7B 임시분초를 설치. 현장팀은 동 감시소 소속 사무원 6명, 광역수사대 소속 수사관 5명, 사회국 소속 요원 2명으로 구성함.
- TF 현장팀은 임시분초 설치가 완료된 '18. 11. 20. 야간부로 잠입 및 24시간 감시 행동에 돌입함. 이후 9주에 걸친 활동에서 현장팀은 이하 2종류의 접근법으로 ㈜플루토상사 화천공장의 정보를 수집함.
- 사회국 커버요원 2명은(이하 탐문조) 다양한 경로로 관련자들과 접촉을 시도함. 1명은 ㈜플루토상사 사장과 요주의 인물 ███이 소속한 친목 모임에 가입, 1명은 공장 노동자로 위장 취업.
- 그 외 현장팀원은(이하 잠복조) 임시분초에서 광학영상장비를 통해 공장의 동향을 주시함.
- 결과는 2쪽에 요약하여 수록. (상세 기록은 1~4차 보고서 참조)
- 사회국 커버요원 2명은(이하 탐문조) 다양한 경로로 관련자들과 접촉을 시도함. 1명은 ㈜플루토상사 사장과 요주의 인물 ███이 소속한 친목 모임에 가입, 1명은 공장 노동자로 위장 취업.
- 1 -
-
- _
[[div class="report"]]
[[include :scpkrsandbox:rok-secret
|class=2]][[include :scpkrsandbox:component:npes-info
|position=첩보실 사회국
|grade=7급
|name=김 동 환]]
~~~~
@@@@
@@@@
[[include :scpkrsandbox:component:npes-headline
|bg=information
|headline="Celeste"의 國內 생산 설비 감시 경과 보고 (5차, 종합)
|date=2019. 1. 20.]]
@@@@
@@@@[[div class="summary"]]
지정주시단체 C025 "셀레스트"의 가맹사업체로 확인된 문구제조사 "㈜플루토商社"의 생산 설비를 '18. 11. 20.부터 감시한 결과, 최소 3차례의 폭파 실험을 포함한 특이 동향이 다수 포착됨. 제품은 __[[[scp-943-ko|극초소형 탄도유도탄]]]__, 위험성 높음. 설비는 1개 생산라인으로 구성, 공정은 거의 완비된 것으로 보이나 현시점까지는 완제품 대량생산이나 반출 조짐은 없음. 감청 결과 납품계획에 차질 발생한 것으로 확인. 양산 돌입 전 즉각 개입행동 요함.
[[/div]]@@@@
@@@@* 초동개입국 상설주시자산과 영서제1감시소는 '18. 11. 19. 새벽, 화천 교외에 위치한 ㈜플루토상사 소유 공장에 요주의 인물 ███이 출입하는 것을 탐지함. ███은 국내 불법초상조직 "셀레스트"의 조직원이며 조사 결과 ㈜플루토상사 사외이사직을 맡고 있었음. 이를 보고받은 상설주시자산과는 해당 사실을 즉시 수사국과 첩보실 사회국에 전파함.
* 수사국과 사회국은 본 사안을 "셀레스트" 관련 사건으로 판단, C025 합동 TF에 배당함. TF는 ㈜플루토상사와 셀레스트의 배후 접점을 조사하는 한편 해당 사업체의 상세한 정황을 파악하기 위해 잠복 수사를 수행하기로 결정하고 현장팀을 구성함.
* 잠복 거점으로 영서제1감시소 제7감시초소 산하에 7A, 7B 임시분초를 설치. 현장팀은 동 감시소 소속 사무원 6명, 광역수사대 소속 수사관 5명, 사회국 소속 요원 2명으로 구성함.@* TF 현장팀은 임시분초 설치가 완료된 '18. 11. 20. 야간부로 잠입 및 24시간 감시 행동에 돌입함. 이후 9주에 걸친 활동에서 현장팀은 이하 2종류의 접근법으로 ㈜플루토상사 화천공장의 정보를 수집함. * 사회국 커버요원 2명은(이하 탐문조) 다양한 경로로 관련자들과 접촉을 시도함. 1명은 ㈜플루토상사 사장과 요주의 인물 ███이 소속한 친목 모임에 가입, 1명은 공장 노동자로 위장 취업. _ * 그 외 현장팀원은(이하 잠복조) 임시분초에서 광학영상장비를 통해 공장의 동향을 주시함. _ * 결과는 2쪽에 요약하여 수록. (상세 기록은 1~4차 보고서 참조)@@
@@@@
@@@@
= [[size 15px]]- 1 -[[/size]][[/div]]
-
- _
회의 보고서는 회의 참석자가 참고하기 위한 '회의 자료 보고서'와 회의를 진행한 이후 내용을 종합·요약해 작성하는 '회의 결과 보고서'로 나뉘며, 서식에서 주로 쓰이는 것은 후자입니다. 일시, 장소, 참가자 등의 일반 정보를 기입한 후 회의별로 중요한 내용을 정리하되, 속기록처럼 실제 대화를 곧이곧대로 받아쓰지는 않습니다. 각 발언자의 발언 요지를 압축해서 한 덩어리로 요약하고, 의견교환 끝에 도출된 결론이나 회의의 의장이 내린 최종 결정을 정리하여 제시하세요.
회의는 크게 의견을 교환하고 아이디어를 도출하기 위한 회의와 최종적으로 의사결정을 내리기 위한 회의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전자의 경우 왜 브레인스토밍이 필요했는지 설명하는 배경 상황과 토론 목적을 간략하게 제시하는 게 좋겠죠. 후자는 회의 배경과 결과를 모두 정리해주는 것이 좋을 겁니다. 이렇듯 적어야 할 내용이 많기 때문에, 페이지 단위를 유지하면서 회의 보고서를 작성하려면 탭뷰 구문이 거의 필수적입니다.
- 아래 예시에선 상황·정보 보고서가 제출된 직후 급하게 소집된 고위각료회의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러한 배경 때문에 1페이지에선 앞선 보고의 내용을 요약해 제시하고, 2페이지에 요약된 회의록을 기재한 뒤, 3페이지에 결론이라 할 수 있는 원장 지시사항을 작성해뒀죠. 보고서 작성 수칙을 따라 결론 요약을 앞에 적을지, 서사적 전개를 위해 결론을 뒤로 보내고 시간순으로 제시할지는 작성자 선택에 달려 있습니다.
회의 보고서는 부서를 가리지 않고 사용될 수 있습니다. 부서 내부 회의든 부서간 회의든 회의 결과 보고서는 필요하니까요. 하지만 작품적으로는 부서 내부의 이야기는 (부서 내 캐릭터들이 확실한 게 아니라면) 회의록 형태보단 정책 보고서나 상황·정보 보고서로 압축해서 서술하는 게 더 나을 겁니다. 회의 보고서는 여러 부서들이나 여러 캐릭터들이 상반된 의견을 펼쳐서 결론을 도출해내는 묘사에 최적화되어있거든요.
-
- _
※ 탭뷰 중첩이 불가능한 문제 때문에 아래 탭은 별도의 CSS 테크닉으로 구현되어있습니다. 만약 탭 내용이 표시되지 않는다면 버튼을 눌러 탭 내용을 호출하세요.
2 급 비 밀
S E C R E T비서실 4급 채 양 우 P-████ (███-████) C025 TF 현안보고 회의 결과
2019. 1. 20.
1. 회의 개요
- 일 시 : 2019. 1. 20(수) 19:40-20:55
- 장 소 : 방재원 본관 비광실
- 참석자
- 원장 (의장)
- TF 전략팀 ㅇㅇㅇ 대위, 작전실장(부의장), 수사국장(간사위원)
- 차장, 첩보실장
- 비서실장, 정책실장, 법무과장
- 원장 (의장)
- 보고 안건
- "셀레스트" 화천시설 긴급제압 작전
- 보고자: ㅇㅇㅇ 대위 (C025 TF 전략팀 분석관)
- "셀레스트" 화천시설 긴급제압 작전
- 보고 내용 (요약)
○ 위법초상무기 제조 현장 포착, 즉시 진압 요망- 감시대상 ㈜플루토상사는 C025 가맹사로 최종 확인
- 초상기술 응용 극초소형 탄도유도탄 개발성공, 양산 전 단계까지 도달
- 개발 주축은 탈북 기술자 황의책 박사, 의도적으로 북한내 활동기록 말소해 감시 회피한 듯
- 「지정주시단체 관리법」에 근거하여 신속한 제압작전 수행 필요
- 보고사항 세부는 TF 5차 감시보고서 참조
- 감시대상 ㈜플루토상사는 C025 가맹사로 최종 확인
- 1 -
2 급 비 밀
S E C R E T2. 회의 결과 (요지)
- 현시점까지 미처 파악 못한 플루토상사의 불법초상물품 제조거점이 더 존재할 가능성 有
성급하게 공격했다가 잔당이 은닉하여 테러세력으로 돌변하면 더 위험할 수 있음
(以下 정책실장)- 보고 정보대로라면 C025 내부에서도 학용품을 빙자한 무기 판매로 갑론을박하는 상황…
판로도 불명확한 현 시점에 무리하게 양산에 나서진 않을 것
- C025는 구조 자체가 분권적이며 가맹체들이 느슨하고 얇게 퍼져있어 일망타진 힘들지만
적어도 플루토상사는 일거에 체포할 수 있도록 신중을 기해야 함
- 보고 정보대로라면 C025 내부에서도 학용품을 빙자한 무기 판매로 갑론을박하는 상황…
- 7초소 현장팀 외에 C025 TF 차원에서 계속 수사했지만 화천공장 외 특이사항 발견 못함
현 시점에서 확실한 것은 휴대 가능한 미사일이 완성되어 국내에서 생산 대기중이란 사실 뿐
(ㅇㅇㅇ 대위)
- 청와대와 국방부는 현재 화천공장 시설과 생산물이 심대한 국가안보 위협이라 판단하고 있음
지금 나서지 않는다면 NSC를 거쳐 특전사나 경찰특공대 소관으로 사안이 넘어갈 것 감안해야
(以下 비서실장)- 정치적 고려로 서두르자는 것 아냐, 작전을 연기한다면 NSC 설득할 강한 근거가 필요하다는 것
- 정치적 고려로 서두르자는 것 아냐, 작전을 연기한다면 NSC 설득할 강한 근거가 필요하다는 것
- 사안 시급성 이해하나 아직 플루토상사 수사는 갓 2개월 경과… TF 조사능력 제한적
수사국 입장에서도 정보 획득 만족스럽지 않아 작전 강행 지지하기 어려워
(以下 수사국장)
- 3차 보고서에서 황의철 존재 파악된 후 대북정보국이 조사한 결과 북한의 조직적 개입 의심됨
특히 국가보위성 이상교화국(N003)에서 황 박사의 과거행적 관련 자료를 말소한 정황 多
(以下 첩보실장)- 그에 비해 플루토상사는 평범한 문구제조사로, TF 보고에 따르면 첫 초상제품 개발로 추정
이들이 노동1호 설계를 획득하고 탄도유도탄 제작에 나선 것, 우연으로 생각할 수 없어
- 황의철이 북한 지령을 받고 내려왔다면 언제까지나 C025 내부 사정을 봐주며 행동하진 않을 것
목적을 모르는 이상 행동 예측 불가, 제압 가능할 때 제압하는 것이 최선
- 그에 비해 플루토상사는 평범한 문구제조사로, TF 보고에 따르면 첫 초상제품 개발로 추정
- 타 시설들의 잠적 위험보다 화천시설에 구비된 각종 위험물이 특수부대 투입의 가장 큰 위험요소
(以下 작전실장)- 노동1호의 연료 및 산화제 탱크, 탄두 생산라인의 RDX, TNT 등 고위험 폭발물이 공장 내 산재
도입하고 있는 기술이 불명확한 만큼 더 위험한 물자들을 취급하고 있을 가능성도 배제 못해
내부구조 및 인원배치를 조금이라도 오판할 경우 참사로 이어질 수 있어… 극도로 주의해야 할 것
- 안전한 진압작전 수행을 위해 강행전술국 참가 下 전장분석 및 작전준비 단계에 시간 투자 필수적
- 노동1호의 연료 및 산화제 탱크, 탄두 생산라인의 RDX, TNT 등 고위험 폭발물이 공장 내 산재
- 2 -
2 급 비 밀
S E C R E T3. 원장 지시사항 (요지)
- 사안 중대한 만큼 빠른 조치 필요하나, 실수의 여지가 없도록 철저히 준비해야 할 것.
2월 중 제압 실시, 관련부서는 정보 수집과 전술 검토를 거듭하여 최적의 작전 준비해주기 바람.- 수사국, 사회국은 플루토상사 자금흐름 및 사업전개 위주로 특별조사 실시하여 보고할 것.
- 강행전술국은 TF와 함께 작전계획 구체화할 것.
동시에 제102대대를 이동배치하여 현지 인근에 대기, 유사시 즉각 돌입 가능하도록 조치 바람.
- 정책실은 재단과 GOC 측에 방재원 입장 전달하고 정보공유 요청하기 바람.
법무과는 영장 청구 차질 없도록 조치할 것.
- 수사국, 사회국은 플루토상사 자금흐름 및 사업전개 위주로 특별조사 실시하여 보고할 것.
- 작전 연기 건은 원장이 직접 청와대 설득하겠음.
- 전 대원은 동요하지 말고 오직 작전 성공을 위해 최선을 다해 준비하기 바람.
별첨 1. C025 TF M01 5차 감시보고서
- 대통령 보고 완료 -
- 3 -
-
- _
[[tabview]]
[[tab 회의록 1쪽]][[include :scpkrsandbox:rok-secret
|class=2]][[include :scpkrsandbox:component:npes-info
|position=비서실
|grade=4급
|name=채 양 우]]
~~~~
@@@@
@@@@
[[include :scpkrsandbox:component:npes-headline
|bg=meeting
|headline=C025 TF 현안보고 회의 결과
|date=2019. 1. 20.]]@@@@
@@@@1. 회의 개요
* **일 시 :** 2019. 1. 20(수) 19:40-20:55
* **장 소 :** 방재원 본관 비광실
* **참석자**
* 원장 (의장) _
,, ,,
* TF 전략팀 ㅇㅇㅇ 대위, 작전실장(부의장), 수사국장(간사위원) _
,, ,,
* 차장, 첩보실장 _
,, ,,
* 비서실장, 정책실장, 법무과장* **보고 안건**
* "셀레스트" 화천시설 긴급제압 작전 _
_
- 보고자: ㅇㅇㅇ 대위 (C025 TF 전략팀 분석관)* **보고 내용** (요약) _
_
○ __위법초상무기 제조 현장 포착, __##red|__**즉시 진압 요망**__##
* 감시대상 ㈜플루토상사는 C025 가맹사로 최종 확인 _
_
- 초상기술 응용 극초소형 탄도유도탄 개발성공, 양산 전 단계까지 도달 _
_
- 개발 주축은 탈북 기술자 황의책 박사, 의도적으로 북한내 활동기록 말소해 감시 회피한 듯 _
_
- 「지정주시단체 관리법」에 근거하여 신속한 제압작전 수행 필요 _
,, ,,
* 보고사항 세부는 TF 5차 감시보고서 참조@@@@
@@@@
= [[size 15px]]- 1 -[[/size]][[/tab]]
[[tab 2쪽]][[include :scpkrsandbox:rok-secret
|class=2]]2. 회의 결과 (요지)
* 현시점까지 미처 파악 못한 플루토상사의 불법초상물품 제조거점이 더 존재할 가능성 有 _
성급하게 공격했다가 잔당이 은닉하여 테러세력으로 돌변하면 더 위험할 수 있음 _
(以下 정책실장)
* 보고 정보대로라면 C025 내부에서도 학용품을 빙자한 무기 판매로 갑론을박하는 상황...
판로도 불명확한 현 시점에 **무리하게 양산에 나서진 않을 것** _
,, ,,
* C025는 구조 자체가 분권적이며 가맹체들이 느슨하고 얇게 퍼져있어 일망타진 힘들지만 _
적어도 플루토상사는 일거에 체포할 수 있도록 신중을 기해야 함 _
,, ,,* 7초소 현장팀 외에 C025 TF 차원에서 계속 수사했지만 화천공장 외 특이사항 발견 못함 _
현 시점에서 확실한 것은 휴대 가능한 미사일이 완성되어 국내에서 생산 대기중이란 사실 뿐 _
(ㅇㅇㅇ 대위) _
* 청와대와 국방부는 현재 화천공장 시설과 생산물이 심대한 국가안보 위협이라 판단하고 있음 _
지금 나서지 않는다면 NSC를 거쳐 특전사나 경찰특공대 소관으로 사안이 넘어갈 것 감안해야 _
(以下 비서실장)
* 정치적 고려로 서두르자는 것 아냐, 작전을 연기한다면 NSC 설득할 강한 근거가 필요하다는 것 _
,, ,,* 사안 시급성 이해하나 아직 플루토상사 수사는 갓 2개월 경과... TF 조사능력 제한적 _
수사국 입장에서도 정보 획득 만족스럽지 않아 작전 강행 지지하기 어려워 _
(以下 수사국장)* 3차 보고서에서 황의철 존재 파악된 후 대북정보국이 조사한 결과 북한의 조직적 개입 의심됨 _
특히 국가보위성 이상교화국(N003)에서 황 박사의 과거행적 관련 자료를 말소한 정황 多 _
(以下 첩보실장)
* 그에 비해 플루토상사는 평범한 문구제조사로, TF 보고에 따르면 첫 초상제품 개발로 추정 _
이들이 노동1호 설계를 획득하고 탄도유도탄 제작에 나선 것, 우연으로 생각할 수 없어 _
,, ,, * 황의철이 북한 지령을 받고 내려왔다면 언제까지나 C025 내부 사정을 봐주며 행동하진 않을 것 _ 목적을 모르는 이상 행동 예측 불가, 제압 가능할 때 제압하는 것이 최선 _ @@* 타 시설들의 잠적 위험보다 화천시설에 구비된 각종 위험물이 특수부대 투입의 가장 큰 위험요소 _
(以下 작전실장)
* 노동1호의 연료 및 산화제 탱크, 탄두 생산라인의 RDX, TNT 등 고위험 폭발물이 공장 내 산재 _
도입하고 있는 기술이 불명확한 만큼 더 위험한 물자들을 취급하고 있을 가능성도 배제 못해 _
내부구조 및 인원배치를 조금이라도 오판할 경우 참사로 이어질 수 있어... 극도로 주의해야 할 것 _
,, ,, * 안전한 진압작전 수행을 위해 강행전술국 참가 下 전장분석 및 작전준비 단계에 시간 투자 필수적 _ @@= [[size 15px]]- 2 -[[/size]]
[[/tab]]
[[tab 3쪽]][[include :scpkrsandbox:rok-secret
|class=2]]3. 원장 지시사항 (요지)
* 사안 중대한 만큼 빠른 조치 필요하나, 실수의 여지가 없도록 철저히 준비해야 할 것. _
2월 중 제압 실시, 관련부서는 정보 수집과 전술 검토를 거듭하여 최적의 작전 준비해주기 바람.
* 수사국, 사회국은 플루토상사 자금흐름 및 사업전개 위주로 특별조사 실시하여 보고할 것. _
,, ,,
* 강행전술국은 TF와 함께 작전계획 구체화할 것. _
동시에 제102대대를 이동배치하여 현지 인근에 대기, 유사시 즉각 돌입 가능하도록 조치 바람. _
,, ,,
* 정책실은 재단과 GOC 측에 방재원 입장 전달하고 정보공유 요청하기 바람. _
법무과는 영장 청구 차질 없도록 조치할 것.
* 작전 연기 건은 원장이 직접 청와대 설득하겠음.* 전 대원은 동요하지 말고 오직 작전 성공을 위해 최선을 다해 준비하기 바람. _
,, ,,별첨 1. C025 TF M01 5차 감시보고서
@@@@
@@@@
@@@@
@@@@
@@@@
@@@@
@@@@
@@@@
@@@@
@@@@
@@@@
@@@@
@@@@
@@@@
@@@@
@@@@
@@@@
@@@@
@@@@
@@@@
@@@@[[=]]
+ [[span style="font-size: 15px; padding: 3px 15px 3px 15px; border: 2.5px solid #3F497F; border-radius: 6px;"]] **-** 대통령 보고 완료 **-** [[/span]]
[[/=]]@@@@
@@@@
= [[size 15px]]- 3 -[[/size]][[/tab]]
[[/tabview]]
-
- _
사후 보고서는 방재원 내에서 종결된 사안의 후속처리 상황을 설명하는 보고서입니다. 변칙 물체나 현상 관리를 재단에 이첩한 내역이나, 초상사건 용의자를 검찰에 인계해서 공소와 재판이 이루어지는 상황, 추적하던 대상이 국외로 나가버렸거나 기타 단체가 확보해 추적 가치를 잃은 경우 등, 방재원 입장에서 사건 파일을 종결하는 시점부터는 사후 보고서의 영역입니다.
제공해드린 매뉴얼에서 네 번째 보고서 유형은 원래 행사 보고서입니다. 그렇지만 비밀 조직인 방재원은 공개 행사에 나갈 일이 없기도 하고, 행사 보고서 자체가 행사에 참석하고 연단에 오르기 전에 VIP에게 압축설명을 제공하기 위한 보고서라서 우리 서식에선 필요가 없습니다. 사후 보고서는 이 자리를 대체할 겸 한국사령부 세계관에서 방재원의 입장과 활동 방식을 고려해 새롭게 만든 보고서 유형입니다. 상황종료 후에 마무리가 필요할 때, 완전 다른 보고서 묶음에서 정보를 끌어올 때 활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아래 예시에선 SCP-933-KO를 재단에 넘겼고 이후 정기면담을 예정해둔 사실, 확보 과정에서 확인된 반성점 코멘트, 새롭게 조사가 필요해진 사안에 대한 언급과 관련 보고서 묶음으로의 연결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방재원 관할 하의 업무행동이 종료된 후에 작성되는 보고서이므로, 직접 임무를 수행하는 작전실과 첩보실보단 사안들을 총체적으로 관리하는 정책실이나 비서실 쪽에서 작성하는 것이 어울립니다.
-
- _
2 급 비 밀
S E C R E T정책실 기획국 5급 구 상 필 P-████ (███-████) N003L93 사후처리 보고서 2021. 12. 30. 리은택씨는 재단 보호 하에 SCP-933-KO로 지정되어 제21K기지에 수용됨. 추후 SCP-933-KO의 면담과 추가 조사를 통해 지정주시단체 N003 이상교화국의 "새사람 계획"의 실체를 추적할 계획.
방재원 내 군합동대응과 대북첩보 사이의 협응에 미비점이 발견되어 개선이 촉구됨.
- '21. 12. 3. 국군 ██사단에서 회수한 전 이상교화국 소속 초상인간 리은택씨의 신병은 무사히 SCP 재단 측에 인계되었으며, 현재 SCP-933-KO로 지정하여 서울 제21K기지에서 수용중.
- SCP-933-KO의 수용 상태를 확인하고 추가 진술을 확보할 수 있도록 격월마다 대북정보국 요원이 제21K기지를 방문하여 SCP-933-KO를 면담하는 사항이 합의되었음.
- 리은택씨의 탈북 및 회수 과정을 목격한 ██사단 장병들의 기억소거 조치가 재단 협조 하에 '21. 12. 20. 부로 완료되었음.
- █군단장 ㅇㅇㅇ 중장, █군단 안보지원대장 ㅇㅇㅇ 대령, ██사단장 ㅇㅇㅇ 소장은 기억소거 대상에서 제외됨.
- 본 사건을 포함해 이미 세차례의 북한 지정주시단체 탈북자를 ██사단에서 확보한 점, 경계 구역상 이후로도 ██사단이 초상성 관련 탈북자를 확보할 가능성이 큰 점을 고려함.
- 이들에겐 관련 사건 발생시 군사안보지원사령부 연락장교 ㅇㅇㅇ 중령을 통해 방재원에 연락을 취할 것을 요청함.
- █군단장 ㅇㅇㅇ 중장, █군단 안보지원대장 ㅇㅇㅇ 대령, ██사단장 ㅇㅇㅇ 소장은 기억소거 대상에서 제외됨.
- 대북첩보사안과 군내 초상사건 사안이 중복되는 경우 부서간 업무협력에 매끄럽지 않은 부분이 발견됨.
- 초동개입국과 대북정보국은 조속한 시일 내에 해당 시나리오를 상정한 협업 가이드라인을 작성하기로 결정함.
- 본 사건으로 파악된 이상교화국의 "새사람 계획"에 대해선 대북정보국이 계속해서 추적할 것임.
- 이후 정보는 문서번호 N003N48 참고.
- 1 -
-
- _
[[div class="report"]]
[[include :scpkrsandbox:rok-secret
|class=2]][[include :scpkrsandbox:component:npes-info
|position=정책실 기획국
|grade=5급
|name=구 상 필]]
~~~~
@@@@
@@@@
[[include :scpkrsandbox:component:npes-headline
|bg=after
|headline=N003L93 사후처리 보고서
|date=2021. 12. 30.]]@@@@
@@@@[[div class="summary"]]
리은택씨는 재단 보호 하에 SCP-933-KO로 지정되어 제21K기지에 수용됨. 추후 SCP-933-KO의 면담과 추가 조사를 통해 지정주시단체 N003 이상교화국의 "새사람 계획"의 실체를 추적할 계획.방재원 내 군합동대응과 대북첩보 사이의 협응에 미비점이 발견되어 개선이 촉구됨.
[[/div]]@@@@
@@@@* '21. 12. 3. 국군 ██사단에서 회수한 전 이상교화국 소속 초상인간 리은택씨의 신병은 무사히 SCP 재단 측에 인계되었으며, 현재 [[[SCP-933-KO]]]로 지정하여 서울 제21K기지에서 수용중.
* SCP-933-KO의 수용 상태를 확인하고 추가 진술을 확보할 수 있도록 격월마다 대북정보국 요원이 제21K기지를 방문하여 SCP-933-KO를 면담하는 사항이 합의되었음.* 리은택씨의 탈북 및 회수 과정을 목격한 ██사단 장병들의 기억소거 조치가 재단 협조 하에 '21. 12. 20. 부로 완료되었음.
* █군단장 ㅇㅇㅇ 중장, █군단 안보지원대장 ㅇㅇㅇ 대령, ██사단장 ㅇㅇㅇ 소장은 기억소거 대상에서 제외됨. _
,, ,,
* 본 사건을 포함해 이미 세차례의 북한 지정주시단체 탈북자를 ██사단에서 확보한 점, 경계 구역상 이후로도 ██사단이 초상성 관련 탈북자를 확보할 가능성이 큰 점을 고려함. _
,, ,,
* 이들에겐 관련 사건 발생시 군사안보지원사령부 연락장교 ㅇㅇㅇ 중령을 통해 방재원에 연락을 취할 것을 요청함.* 대북첩보사안과 군내 초상사건 사안이 중복되는 경우 부서간 업무협력에 매끄럽지 않은 부분이 발견됨.
* 초동개입국과 대북정보국은 조속한 시일 내에 해당 시나리오를 상정한 협업 가이드라인을 작성하기로 결정함.* 본 사건으로 파악된 이상교화국의 "새사람 계획"에 대해선 대북정보국이 계속해서 추적할 것임.
* 이후 정보는 __문서번호 N003N48__ 참고.@@@@
@@@@
= [[size 15px]]- 1 -[[/size]][[/div]]
3. 보고서 묶음을 구성하기
위에 접어둔 설명들을 참고해서 각 보고서 유형들의 작성 방법과 용도를 습득하신 뒤, 박스와 탭뷰를 적절히 활용해서 보고서들을 나열하세요. 보고서 유형에는 정해진 순서가 없으며, 보고서 묶음 내에서 맥락이 전개되는 것에 따라 유연하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어떤 사건이 발생하여 그 후유증을 관리하기 위한 정책을 고안하는 상황이라면 우선 사건에 대한 상황·정보 보고서를 작성한 뒤 관리 방안에 대한 정책 보고서를 붙이는 것은 좋은 구성이 될 것입니다. 당신이 구상한 스토리를 시간순으로 전달할 때 각 시점에 가장 적합한 보고서 유형을 선택하세요.
국제변칙경찰기구 연락관
×
PANGEA 연락관은 국제변칙경찰기구(IAPO)에 파견되어 국가간 초상치안 협력 사업에서 대한민국 정부의 입장을 대변한다. 정례적으로 개최되는 변칙경찰총회에 국가초상방재원측 대표로 참석한다.
감사관
×
감사관실은 국가초상방재원의 활동, 행정, 예산 집행이 공정하고 합법적으로 수행되는지 검사·감독한다.
수석감사관은 차관급 정무직공무원으로, 방재원 외부 인사를 대통령이 직접 임명한다.
- 감사관 비서실
- 감찰실
작전실
×
작전실은 국내 이상사건 징후 감시, 초상범죄자 추적 및 체포, 위급한 초상재난 현장에 직접 개입하여 민간인을 보호하고 변칙 위협을 배제 및 회수하는 실전적 임무 수행을 담당한다.
작전실장은 1급 특정직공무원이다.
- 초동개입국
- 강행전술국
- 수사국
첩보실
×
첩보실은 국내외 초상사건 관련 정보의 흐름을 추적·관리하고 각종 초상조직을 감시하며 방재원 활동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한다. 북한·해외의 초상사건에 개입해야 하는 임무도 첩보실이 관할한다.
첩보실장은 1급 특정직공무원이다.
- 사회국
- 국제정보국
- 대북정보국
기획국
×
기획국은 방재원의 전략기획 업무를 담당하며, 방재원의 운영 방향과 예산 분배, 인사, 부서간 업무 조정 등을 결정하는 행정 부서이다.
기획국장은 2급 특정직공무원이다.
- 인사팀
- 비상전략팀
- 기획과
- 재무과
- 총무과
- 법무과
초동개입국
×
초동개입국은 지역 기반 활동거점을 운용하고 이상징후에 대한 초기 대응을 담당한다.
초동개입국장은 2급 특정직공무원이다.
- 경찰합동대응팀
- 소방합동대응팀
- 군합동대응팀
- 기동대응팀
- 긴급출동1~9반
- 상설주시자산과
강행전술국
×
강행전술국은 경찰과 초동개입국으로 대처할 수 없는 강력초상사건 및 초상재해 상황을 담당하며, 대초상 전투와 재해상황 대처에 특화된 전문가 집단이다.
강행전술국장은 2급 특정직공무원이다.
- 제11대초상특수임무부대
- 특수전학교 NPES분교
수사국
×
수사국은 기존 치안조직에서 공식적으로 배당할 수 없는 초상범죄 수사를 담당하는 사법경찰기관이다. 권한상 수사국은 검찰, 경찰, 해경, 공수처 등 수사권을 가진 정부기관들로부터 협조요청을 받도록 되어있으며, 방재원이 먼저 사건을 포착했을 경우 이들 기관에 수사개시를 요청할 수 있다.
수사국장은 2급 특정직공무원이다.
- 이상과학수사연구소
- 과학수사대
- 광역수사대
- 수사과
- 형사과
- 중대사건팀
사회국
×
사회국은 치안기관 및 초동개입국 상설주시자산과와 협력하여 국내 특이동향을 수집·분석한다. 국내 비허가 초상조직 추적, 블랙요원 양성 및 운용 등을 주 임무로 하여 초상사건 징후를 탐색한다.
사회국장은 2급 특정직공무원이다.
- [상세 편제 비공개]
국제정보국
×
국제정보국은 해외와 연계되는 초상안보 위협을 감시하며, 국외에 나가있는 대한민국 국민과 자산을 현지의 초상위협으로부터 보호한다.
국제정보국장은 2급 특정직공무원이다.
- [상세 편제 비공개]
대북정보국
×
대북정보국은 북한의 초상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특수 부서이다. 인민군 P국, 보위부 이상교화국을 필두로 한 북한 정권 산하의 초상기관과 이들의 특수자산 취급 및 보유 현황을 감시하고, 이들 조직과 자산이 대한민국에 안보 위협을 가하거나 북한 내 급변사태를 촉발하지 않도록 방첩·첩보 활동을 수행한다. 대북정보국의 휴민트는 국가정보원과 공유하고 있다.
대북정보국장은 2급 특정직공무원이다.
- [상세 편제 비공개]
상설주시자산과
×
상설주시자산과는 전국 각지에 감시소와 감시초소를 운영한다. 각 감시초소는 권역 감시소에 소속되어 전국적인 모니터링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안전가옥과 임시구류소를 겸한다.
상설주시자산과장은 3급 특정직공무원이다.
■ 서울제1, 2감시소 ■ 경기제1, 2, 3감시소 ■ 인천제1, 2감시소 ■ 영서제1, 2감시소 ■ 영동제1, 2감시소 ■ 세종감시소 ■ 충청제1, 2감시소 |
(영등포, 성동) (화성, 동두천, 남양주) (중구 항동, 중구 영종동) (춘천, 원주) (삼척, 속초) (연기) (충주, 공주) |
■ 대구감시소 ■ 부산감시소 ■ 경상제1, 2, 3감시소 ■ 광주감시소 ■ 전라제1, 2감시소 ■ 제주감시소 |
(동구) (중구) (안동, 창원, 포항) (동구) (전주, 무진) (서귀포) |
제11대초상특수임무대
×
제11대초상특수임무대는 방재원 소속의 여단급 독립특수부대다. 대규모 재해 및 민간인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고위험 초상 현상을 대처하기 위해 창설된 부대이며, 전문 훈련을 거친 특수전 병력으로 구성되었다.
제11특임대 대장은 3급 특정직공무원이다.
- 본부대대
- 제102전술대대
- 제110전술대대
- 제122탐색구조대대
대초상장비교육원
×
대초상장비교육원은 국가초상방재원에서 도입한 다양한 첨단 장비들의 운용요원을 양성하는 장비국 소속 기술학교이다. 전투장비와 비전투장비를 막론하고 방재원이 운용하는 모든 대초상 장비는 교육원에서 최종 검토한 뒤 도입되며, 도입 후에도 현장의 운용 경험과 종합정비창의 피드백을 취합하여 운용 매뉴얼을 최적의 상태로 보강한다.
종합정비창
×
종합정비창은 장비국의 부속기관으로, 기밀 관계상 외부 정비기관에 위탁 불가능한 첨단 대초상 장비들을 전담하여 정비한다. 각급 부서에서 일선정비로 수리 불가능한 장비 및 정기 검사 주기가 경과한 장비가 종합정비창으로 인계되며, 장비 상태와 상황에 따라 부속교체부터 완전분해정비에 이르기까지 가장 적절한 조치를 수행한다.
특수전학교 NPES분교
×
특수전학교 NPES분교는 일반적인 전장과 구분되는 초상사건 현장의 전술 환경에 맞추어 다양한 특수전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강행전술국 소속 전투원들은 모두 특전사 특수전학교 본과정을 수료한 후 NPES분교에서 전문화 코스를 이수한다.
이상과학수사연구소
×
이상과학수사연구소는 국과수의 방재원 분원으로써 설립되었다. 공식 약칭은 이상연구소이며, 국가초상방재원의 활동 중 과학수사가 필요한 사안이나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서 이첩된 사안의 감정을 담당한다.
연구국
×
연구국은 방재원 활동에 필요한 각종 초상학술분야를 탐구하는 부서이다. 초상위협 추적 정보 분석, 고전 문헌 연구 및 한국초상사 추적, 이상과학수사연구소와의 수사 공조 등이 주요 업무다.
연구국장은 2급 특정직공무원이다.
- 빅데이터과
- 기적학응용과
- 고문헌고증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