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coT0ucan_98의 창작용 샌드박스입니다.
한국어 변칙 개체 기록
서문: SCP 재단은 더 이상의 신경을 쓰기에는 너무 쓸모없는 물체를 꽤 많이 발견했습니다. 이 문서는 나중에 필요하거나 쓸모가 있을지도 모르는 물체들에 대한 지식을 충당하는 자원이 되어도 좋습니다.
– █████ █████ 박사, 제██기지 지도 연구원
물체 설명: 동물 봉제인형 3개. 각각 곰, 사자, 악어 모양이다. 만 13세 미만의 어린이가 이 인형을 안고 잠들면, 인형의 모양에 따라 각기 다른 동물이 등장하는 악몽을 꾸게 된다.
회수 날짜: 2008/05/13
회수 장소: 미국 █████에 위치한 요주의 단체 "엔트로피를 넘어서"의 은신처.
현 상태: 분실됨 보관중.
메모: 밤마다 자꾸 인형 꺼내가는 놈 누구야? 아무리 우리한테는 별 문제가 없더라도 그렇지, 이것들도 엄연히 변칙 개체라고! – S██████ 박사
죄송해요. 하지만 얘네들이 없으면 도무지 잠이 안 오는걸… – C████ 연구원
솔직히 귀엽긴 해. – P█████ 요원
.
.
.
.
갱신됨: 2020년 7월 20일 이후, 해당 변칙 개체에서 새로운 변칙성이 발견되어 SCP로 지정되었으며, 그에 따라 문서가 대폭 개정되었다.

곰 모양의 SCP-422-KO.
일련번호: SCP-422-KO
등급: 변칙(Anomalous) 안전(Safe)
특수 격리 절차: SCP-422-KO는 표준형 안전 등급 보관함에 보관한다.
설명: SCP-422-KO는 여러가지 모양의 동물 봉제인형이다.
발견:
부록1: SCP-422-KO에 의한 것으로 확인된 사망 사건들을 정리해 놓은 표.
SCP-422-KO-A의 이름 및 나이 | SCP-422-KO의 모양 | 사인 및 사건 내용 |
---|---|---|
대니얼 클레이튼, 26세 | 사자 | 사바나 관광 도중 실종. 이후 아프리카사자 서식지에서 백골사체로 발견됨. |
야마무라 류이치, 22세 | 곰(갈색) | 산행 중 불곰에게 공격받아 사망. 사체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정황상 불곰에게 먹힌 것으로 추정됨. |
마크 샘슨, 23세 | 독수리1 | 권총자살. 사망 장소가 야생동물 보호구역 내부였으며, 발견 당시 사체가 독수리 떼에게 부분적으로 먹힌 상태였음. |
스베틀라나 미하일로비치, 25세 | 늑대 | 귀가 도중 늑대 무리에게 공격받아 사망. 당시 주변에 다른 사람들이 있었는데도 늑대 무리는 대상만을 집중적으로 공격했으며, 이 사건이 언론에 보도된 것을 계기로 재단에서 관련 조사에 착수함. |
베로니크 뒤부아, 21세 | 곰(흰색) | 북극곰에게 공격받아 사망. 이후 북극곰이 사체를 물고 10m가량 끌고 갔으며, 그 북극곰은 사살됨. |
티모시 캠벨, 20세 | 상어 | 허리케인으로 인해 실종. 해변에 떠밀려 온 황소상어가 토해낸 다리 한 짝만이 발견됨.2 |
부록2: SCP-422-KO와 관련된 문자 메시지 내역.3
2008년 5월 10일
문자1
오후 00:00
문자2
오후 00:00
태그: scp ko 안전 엔트로피를-넘어서 장난감
:root { --sidebar-width-on-desktop: calc(var(--base-font-size) * (266 / 15)); --body-width-on-desktop: 45.75rem; } @media only screen and (min-width: 56.25rem) { #content-wrap { display: flex; position: initial; flex-direction: row; flex-grow: 2; width: calc(100vw - (100vw - 100%)); max-width: inherit; height: auto; min-height: calc(100vh - var(--final-header-height-on-desktop, 10.125rem)); margin: 0 var(--sidebar-width-on-desktop, 13.6rem) 0 calc(var(--sidebar-width-on-desktop, 13.6rem) * -1 / 2); } #main-content { position: initial; width: var(--body-width-on-desktop, 45.75rem); max-width: var(--body-width-on-desktop, 45.75rem); max-height: 100%; margin: 0 auto; padding: 2rem 1rem; } #page-content { max-width: min(90vw, var(--body-width-on-desktop, 45.75rem)); } #side-bar { position: -webkit-sticky; position: sticky; top: 0; left: 0; grid-area: side-bar; width: var(--sidebar-width-on-desktop, 13.6rem) !important; min-width: var(--sidebar-width-on-desktop, 13.6rem) !important; max-height: 100vh; padding-right: 2.5rem; padding-left: 0.5rem; overflow-y: scroll; transition: translate 300ms cubic-bezier(0.4, 0.0, 0.2, 1), background-color 300ms cubic-bezier(0.4, 0.0, 0.2, 1), padding 300ms linear, margin 300ms linear; border: none; border-color: rgba(var(--swatch-tertiary-color, 170, 170, 170), 0.4); background-color: rgba(var(--sidebar-bg-color, 255, 255, 255), 0); translate: calc(var(--sidebar-width-on-desktop, 13.5rem) * -1 - 1rem); direction: rtl; scrollbar-width: thin; -ms-scroll-chaining: none; overscroll-behavior: contain; scrollbar-color: rgba(var(--swatch-primary-darker), 0.1) /* Thumb */ rgba(var(--swatch-tertiary-color), 0.05); /* Track */ } #side-bar::-webkit-scrollbar-track { background-color: rgba(var(--swatch-secondary-color, 244, 244, 244), 0.8); } #side-bar::-webkit-scrollbar, #side-bar::-webkit-scrollbar-thumb, #side-bar::-webkit-scrollbar-corner { width: 0.5rem; border-right-width: calc(100vw + 100vh); border-right-style: inset; border-color: inherit; background-color: rgba(var(--sidebar-bg-color, 255, 255, 255), 0); } #side-bar:is(:hover, :active, :focus-within) { margin-right: 2.25rem; padding-right: 0.25rem; overflow-x: hidden; overflow-y: auto; border-color: rgba(var(--swatch-primary-darker), 1); background-color: rgba(var(--sidebar-bg-color, 255, 255, 255), 1); translate: calc(var(--sidebar-width-on-desktop, 1rem) - var(--sidebar-width-on-desktop, 0)); scrollbar-color: rgba(170, 170, 170, 1) /* Thumb */ rgba(252, 252, 252, 1); /* Track */ scrollbar-color: rgb(var(--swatch-primary-darker, 170, 170, 170), 1) /* Thumb */ rgb(var(--swatch-menubg-color, 252, 252, 252), 1); /* Track */ } #main-content::after { content: " "; display: flex; position: fixed; top: 0; left: 1rem; align-items: center; justify-content: center; width: 1rem; height: 100%; max-height: 100%; transition: left 300ms cubic-bezier(0.4, 0.0, 0.2, 1), background-position 300ms cubic-bezier(0.4, 0.0, 0.2, 1), opacity 300ms cubic-bezier(0.4, 0.0, 0.2, 1); background: url("https://scp-wiki.wdfiles.com/local--files/component%3Acollapsible-sidebar/sidebar-tab.svg"); background-attachment: fixed; background-repeat: no-repeat; background-position: center left 1rem; background-size: 1rem 12.875rem; pointer-events: none; } #side-bar:is(:hover, :active, :focus-within) + #main-content::after { left: calc(var(--sidebar-width-on-desktop, 14.5rem) * -1); width: 0rem; transition: left 300ms cubic-bezier(0.4, 0.0, 0.2, 1), background-position 300ms cubic-bezier(0.4, 0.0, 0.2, 1), opacity 300ms cubic-bezier(0.4, 0.0, 0.2, 1); opacity: 0; background-position: center left calc(var(--sidebar-width-on-desktop, 14.5rem) * -1); font-size: 0em; } #main-content::before { content: " "; position: absolute; z-index: 9; top: var(--final-header-height-on-desktop, 0); left: 0; width: var(--sidebar-width-on-desktop, 14.5rem); height: calc(100% - var(--final-header-height-on-desktop, 0.688rem) - 2.313rem); margin-bottom: calc(var(--final-header-height-on-desktop, -2.313rem) * -1 - 2.313rem); transition: translate 300ms cubic-bezier(0.4, 0.0, 0.2, 1), opacity 300ms cubic-bezier(0.4, 0.0, 0.2, 1); opacity: 0.5; background-color: rgb(var(--swatch-alternate-color, 0, 0, 0)); pointer-events: none; translate: calc(var(--sidebar-width-on-desktop, 14.5rem) * -1 + 1rem); } #side-bar:is(:hover, :active, :focus-within) + #main-content::before { translate: 0; opacity: 0; } #side-bar .side-block { margin-top: 1em; padding-left: 0.25em; border-right-width: 0rem; border-left-width: 0rem; border-radius: 0; background-color: rgb(0, 0, 0, 0); direction: ltr; } #side-bar .scpnet-interwiki-wrapper { direction: ltr; } /* Print Friendly Formatting by Estrella */ body.print-body { --sidebar-width-on-desktop: 0; } body.print-body #main-content::before, body.print-body #main-content::after { display: none; } }
SCP-187-KO: 네 시작은 미약하였으나 네 나중은 심히 창’대구’하리라
저자: TocoT0ucan77 does not match any existing user name
이미지 출처: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Atlantic-cod-1.jpg CC BY-SA 4.0
▶작가 페이지

격리 직후 촬영한 SCP-187-KO의 모습.
일련번호: SCP-187-KO
등급: 안전(Safe)
특수 격리 절차: 제67기지의 수생동물 연구동에서 SCP-187-KO 한 쌍을 격리하고 있다. 번식을 억제하기 위해, 암수 개체는 각각 수조 하나씩 개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플라스틱 제품은 SCP-187-KO가 있는 수조 반경 3m 이내로는 반입을 금지한다. 1등급 인가를 부여받은 지정된 인원이 하루에 한 번씩 각 개체에게 먹이를 주고, 한 달에 두 번씩 플라스틱 재질이 아닌 청소도구를 이용해 수조를 청소한다.
설명: SCP-187-KO는 대서양 대구(Gadus morhua)의 변종이다. 겉모습과 습성은 일반적인 대서양 대구와 유사하지만, 분석 결과 변칙적인 수단에 의해 유전자 구조가 여러 차례 변형된 흔적이 발견되었다. 지금까지 밝혀진 바로는 이러한 유전자 구조가 SCP-187-KO가 변칙성을 나타내게 된 주요 원인으로 보이며, 현재 네이피어 박사Dr. Napier의 지도하에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 중이다.
SCP-187-KO는 플라스틱을 섭취 및 소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플라스틱 섭취는 비변칙적인 생물체 대부분에게 매우 치명적이지만, SCP-187-KO는 플라스틱을 갑각류나 소형 어류 같은 일반적인 먹이와 다름없이 섭취하고, 변칙적인 과정을 통해 완전히 소화한다.
플라스틱을 섭취한 SCP-187-KO는 또 다른 변칙성을 나타낸다. 플라스틱을 소화하는 동안, 개체의 성장 및 번식 과정이 엄청난 속도로 가속화된다.4 SCP-187-KO는 일반적인 대서양 대구와 마찬가지로 한 번에 최대 900만 개의 알을 낳을 수 있으므로, 개체가 격리 파기를 일으킬 경우 ██일 안에 전 세계의 해양 생태계가 황폐화될 것으로 예상된다.5
발견: SCP-187-KO는 19██년 ██월 ██일, 영국 런던의 ████ 구에서 “집 앞이 온통 물고기 천지가 되었다”는 내용의 신고 전화가 들어온 이후 발견되었다. 영국 응급관리센터(Emergency Control Centre, ECC)에 파견되어 있던 재단 요원에 의해 경찰로 위장한 기동특무부대 파이-1 ("도시 촌놈")이 즉시 동원되었다. 해당 사건은 ████ 구 출신 지역예술가 J█████ M████씨의 실험적인 행위예술이었다는 내용의 역정보가 언론에 유포되었으며, 최초신고자 및 주변 거주민들에게 A등급 기억소거제가 투여되었다.
부록: 현장 수습 중 회수한 물품
- 깨진 수조와 심하게 파손된 여과장치, 수류모터 등 각종 해수어 사육장비.
- 여러가지 설계도와 조잡한 물고기 그림이 잔뜩 그려져 있는 종이뭉치. 발견 당시 물에 젖어 내용을 알아보기 힘들 정도로 손상되어 있었다.
- 조지 오웰의 소설 『동물 농장』 한 권. 발견 당시 주변 상황과는 달리 이상하리만치 깔끔한 상태였으나, 일부 페이지6가 뜯겨나가 있었다.
태그: 동물 물고기 안전 엔트로피를-넘어서 2020-08경연 ko scp
(아이디어 고갈로 인해 방치중)
SCP-509-KO: 새 폴더 생성됨
저자: TocoT0ucan77 does not match any existing user name
이미지 출처: 이곳에서 직접 촬영
▶작가 페이지

실험 도중 생성된 SCP-509-KO-B 개체.
일련번호: SCP-509-KO
등급: 안전 무효(Neutralized)
특수 격리 절차: SCP-509-KO의 잔해는 현재 제27K기지의 물품 창고에 보관되어 있다. 연구를 원하는 인원은 보관 담당 직원의 허가 하에 잔해를 열람할 수 있다. SCP-509-KO는 ██/05/31에 있었던 실험 이후(실험 #5 참조) 더 이상 변칙성을 보이지 않으므로, 격리 절차에 더 이상의 조치는 필요하지 않다.
SCP-509-KO는 제27K기지의 표준형 안전 등급 물품 보관함에 격리한다. 실험 과정에서 생성된 SCP-509-KO-B 개체들은 변칙성 보유 여부를 조사한 후 연구동의 새장 또는 우리에 격리한다. SCP-509-KO를 이용한 실험은 담당 연구원의 허가를 받은 후 진행할 수 있다.
설명: SCP-509-KO는 LG 그램 14 노트북이다. 노트북 상판 우측 하단에 출처를 알 수 없는 병아리 모양 스티커가 붙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시중의 동일 모델과 모습이나 기능 면에서 크게 눈에 띄는 점은 없다.
SCP-509-KO의 변칙성은 압축용 프로그램인 알집을 이용해 새로운 폴더를 생성할 때 나타난다. 일반적인 컴퓨터에서 폴더를 생성할 때와 마찬가지로, SCP-509-KO 또한 임의의 조류 이름(예시: 찌르레기, 뻐꾸기, 까치 등)이 붙은 폴더(이하 SCP-509-KO-A)를 바탕화면에 생성한다. 이후 약 1~3분 이내에 SCP-509-KO는 그 폴더와 같은 이름을 가진 조류 한 마리(이하 SCP-509-KO-B)를 근처에 생성한다. 여러 차례 실험을 통해 알아본 결과, SCP-509-KO-A에 붙는 새 이름은 현재까지 공식적으로 학계에 보고되어 있는 조류 종에 한정되어 있는 듯하다 (실험 #5 참조).
부록: SCP-509-KO 실험기록
서문: 이하 실험 기록은 SCP-509-KO를 이용해 진행한 실험들 중 일부를 간추려 놓은 것이다. 모든 실험은 조류학 전공 인원 및 기술 관리 담당 인원의 감독 하에 진행되었다.
실험 #1 - ██/03/16
대상: 윤██ 연구원
절차: 바탕화면에서 알집을 이용해 새 폴더를 생성함.
결과: '참새'라는 이름이 붙은 폴더(이하 SCP-509-KO-A-1)가 생성되었다. 약 1분 후 SCP-509-KO의 왼편에 참새 한 마리(이하 SCP-509-KO-B-1)가 나타났다. 조사 결과 변칙적인 특성은 없었다.
주석: SCP-509-KO-B-1은 현재 제27K기지 연구동의 새장에 있으며, 윤██ 연구원이 하루에 한 번씩 먹이를 주고 있다.
실험 #2 - ██/03/29
대상: 김██ 연구원
절차: 바탕화면에서 알집을 이용해 새 폴더를 생성함.
결과: '화식조'라는 이름이 붙은 폴더(이하 SCP-509-KO-A-2)가 생성되었고, 약 2분 후 SCP-509-KO의 근처에 화식조 한 마리(이하 SCP-509-KO-B-2)가 나타났다. SCP-509-KO-B-2는 곧 김██ 연구원을 향해 달려들었으며, 놀란 김██ 연구원이 무심코 SCP-509-KO-A-2를 삭제하자, SCP-509-KO-B-2 또한 사라졌다. 김██ 연구원은 약간의 찰과상을 제외하고는 큰 부상을 입지 않았다.
주석: 다음 실험부터는 최소 2명의 무장 인원을 대동하고 실험을 진행하도록 한다.
실험 #3 - ██/05/12
대상: 최██ 연구원
절차: 바탕화면에서 알집을 이용해 새 폴더를 생성한 후, 폴더명을 '산토끼'로 바꿈.
결과:
주석:
실험 #4 - ██/04/20
대상: 조██ 박사
절차: 바탕화면에서 알집을 이용해 새 폴더를 생성한 후, 폴더명을 '캐롤라이나앵무'로 바꿈.7
결과: '찌르레기'라는 이름이 붙어 있던 폴더(이하 SCP-509-KO-A-4)의 이름을 '캐롤라이나앵무'로 바꾸자, 약 1분 후 SCP-509-KO의 기판 위에 박제된 캐롤라이나앵무 사체가 나타났다. 확인 결과 █████ 자연사 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던 것과 동일했다.
주석: 여러 차례의 추가 실험 결과, 이미 멸종된 조류종에 대한 실험은 모두 비슷한 결과로 끝났다.
실험 #5 - ██/05/31
대상: 정██ 박사
절차: 바탕화면에서 알집을 이용해 새 폴더를 생성함.
결과: '소프위스매'라는 이름이 붙은 폴더(이하 SCP-509-KO-A-5)가 생성되었으며, 약 3분 후, SCP-509-KO의 근처에 SCP-1850이 나타나 제27K기지 일부와 SCP-509-KO가 심각하게 파괴되었으며, 정██ 박사가 사망하고 일부 인원이 부상을 입었다. SCP-1850 또한 크게 놀라 이리저리 날뛰다가 손상을 입었으며, 그 과정에서 SCP-509-KO가 파괴되자 갑자기 사라졌다. 이후 SCP-1850가 격리되어 있던 제6기지에 연락하여 확인한 결과, 제6기지의 비행기 격납고에서 SCP-1850이 갑자기 사라졌다가 잠시 후 약간의 손상을 입고, 잔뜩 겁에 질린 상태로 다시 나타났다고 한다. 대상은 크게 불안해하며 한동안 재격리 시도를 거부했으나, 진정제를 넣은 먹이로 유인해서 다시 격리시킬 수 있었다. SCP-509-KO를 복원하려는 시도는 파괴된 정도가 너무 심해 실패로 돌아갔다.
주석: SCP-509-KO의 등급이 안전에서 무효로 갱신되었다.
태그: scp ko 무효 새 컴퓨터
동물 봉제인형(종류는 악어, 북극곰, 늑대, 독수리 등등)
'용감한 환경 친구들!Brave Eco-friends!'이라는 단체 에서 환경 보호 행사를 열며 아이들한테 뿌린 것.
이 단체는 BE의 위장 단체 중 하나였는데, 주로 아이들을 대상으로 활동했음.
(한때는 규모가 컸지만 지금은 해산된)BE의 활동세포 중 하나가 운영을 맡았었음.
13세 미만의 어린이가 인형을 안고 잠에 들면, 그 인형의 모델이 된 동물이 총에 맞거나, 가죽이 벗겨지거나 등등 온갖 끔찍한 모습으로 나타나서 인간이 지구에 얼마나 해를 끼치는지에 대해 소름끼치는 협박을 하는 악몽을 꾸게 됨.
이를 통해 환경에 대해 (물론 100% BE식으로)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 더 나아가 차후 BE의 일원으로 끌어들이는 게 목적.
그 인형을 아이와 떼어 놓으면 악몽이 멈추긴 함. 그러나 그 악몽을 한번이라도 꾸었다면, 인형을 없앴더라도 아이는 아래의 변칙적 효과의 대상이 됨. (BE가 의도한 바는 아님)
멀쩡하게 성장하다가 성인이 된 이후 사고사든 자살이든 모종의 방식으로 이른 죽음을 맞게 되고, 그 시체는 어떻게든 해당 동물의 먹이가 되는 식. (목록으로 정리해 표현)
2008년 BE 재정에 문제가 생기면서 성과가 적은 세포들이 해산됨. 이 과정에서 성과도 영 별로였고 자금도 쪼달렸던 이 단체도 해산 대상이 돼버림.
결국 돈이 급했던 활동세포에서 재고로 쌓여 있던 이 SCP들을 헐값에 처분해 버리는데, 그 과정에서 불량품도 몇 개 섞여들어가지만 알면서도 무시해버림. (세포 조직원들간의 문자 내역으로 표현)
재정난으로 BE가 궁지에 몰리자 기회를 잡은 재단이 몇몇 은신처를 급습하는데 성공. 그러면서 이 SCP도 확보하지만, 그냥 별 볼일 없는 변칙 개체로만 여김.
SCP가 세계 이곳저곳을 떠돌아다니면서 피해를 입는 아이들이 생겨나지만, 아직까지는 큰 화제가 되지 않음.
그렇게 시간이 더 지나고 세계 각지에서 이상한 사망 사건들이 자꾸 발생하자, 그제서야 재단에서 조사에 들어가 연결관계를 파악하고, 변칙 개체에서 SCP로 재분류.
이후 재단에서 수상한 사망 사건이나 아동 심리상담 내용 등, 관련 조사를 진행중. 또한 SCP도 몇 개 더 추가로 확보함. BE에 대해서도 계속 추적 중.
붕붕 드링크 비슷한 것
셀레스트 관련.
금빛 구렁이
금사리(옛 지명은 뱀골)라는 강원도 산간분지 지대에 위치한 가상의 마을 배경. / 사르킥 관련 / 고대사 쪽으로 좀 엮어봐야 할 텐데 어떻게 할지 아직 감이 잘 안잡힘…
레디-데이 필
'그 날' 방지용 약. 시중에 있는 약과 달리 부작용이 전혀 없음 / 셀레스트에서 시험이나 면접 등등 중요한 시기에 갑자기 그 날이 찾아온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판매중. 그러다가 약을 복용하고 면접장에 간 학생에게서 예상치 못한 (아마도 매우 끔찍한)사건이 터짐. / 다도 관련?